반응형

교육연구방법 51

실험설계 정의, 전제조건, 기본 모형(이훈영, 2015, pp. 75-77)

이훈영(2015). 이훈영교수의 연구조사방법론 제 2판, 청람출판사, pp, 75-77 실험설계란 관심요인(변수)들 간의 관계를 명확하게 규명하기 위해 효과적인 연구와 분석을 구상하고 계획하는 것. 실험설계의 전제조건 실험변수의 조작이 가능해야 한다.외생변수를 통제하거나 제거해야 한다.실험대상을 무작위로 추출해야 한다. 실험설계의 기본 모형 : 실험집단의 선정과 실험변수의 조작 및 실험효과의 측정으로 이루어짐. X = 실험변수를 조작하여 실험대상에 적용 O = 시간 변화에 따른 실험대상의 결과 변수를 측정한 값. O0 실험대상이 실험변수에 노출되기 전 사전 측정값, O₁= 실험대상이 조작된 실험변수에 노출된 후 결과변수를 측정한 값, 사후 측정한 값.

교육연구방법 2025.03.21

과학적 연구의 진행절차(이훈영, 2015, pp. 47-58)

이훈영(2015). 이훈영교수의 연구조사방법론 제 2판, 청람, pp, 47-58 과학적 연구의 진행 절차정확한 문제인식 : 연구 문제에 대한 정확한 인식, 연구 문제란 둘 또는 그 이상의 변수들 간의 어떤 관계까 있는가와 같은 질문형식의 의문형 문장, 진술 표현기존 이론과 연구에 대한 고찰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 연구문제와 관련된 문헌고찰을 통해 얻은 관점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하나의 모형을 마련. 연구모형이란 연구자가 연구문제와 관련된 현상에 대한 이론적인 체계를 나타내는것. 문제해결에 중요한 변수들 간의 관계 표현. 연구모형으로 바탕으로 연구를 통해 검증하고자 하는 내용을 구체적으로 명확하게 정리해서 가설을 세우게 됨. 조작적 정의 : 가설에 사용되는 구성개념(잠재변수)를 직접적으로 효과적으로 측정..

교육연구방법 2025.03.21

올바른 연구문제 설정 기준, 가설, 구성개념(이훈영, 2015, 30-38)

이훈영(2015). 이훈영교수의 연구조사방법론 제 2판, 청람, pp, 30-36. 연구문제는 사람이 가지고 있는 가치관에 대한 내용이어서는 안된다.연구문제는 둘 혹은 그 이상의 변수 간의 관계로 표현되어야 한다.연구문제는 질문형식으로 분명하고 명확하게 진술되어야 한다. 연구문제는 경험적으로 검증이 가능해야 한다.  연구문제를 검증이 가능한 형태로 축소하거나 구체화한 것이 가설이다.가설은 두개 이상의 구성개념(잠재변수) 또는 변수 간의 관계를 검정가능한 형태로 서술한 문장으로서 과학적 조사에 의하여 검정이 가능한 사실을 말한다.  +구성개념 :  특정한 과학적 목적을 위해 의도적으로 만들고 채택된 개념. 다른 변수를 이용되서 측정되기에 일반적인 측정 변수와 구분해 잠재변수라 불림. 구성개념은 이론이나 모..

교육연구방법 2025.03.21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비교

1. 질적연구 설계가 지니는 특성을 양적연구와 비교하여 서술 질적 연구는 연구 전체 단계가 매우 반성적이다. 자료를 수집, 분석하며 국지적으로 이론화하고 연구 문제를 재초점화하는 전체 과정이 동시에 진행되기도 하고 서로 영향을 주기도 한다. 과정 중에서 새롭게 발견되거나 변화된 것이 있으면 연구 설계를 재조정하거나 재구성하기도 한다. 그래서 양적 연구에 비해 유연하고 비순차적이다. 또한 양적 연구의 연구설계는 연구 계획과 연구 수행을 위한 '처방적인 안내자'역할을 하지만 질적 연구는 연구의 각 요소들이 실제적인 관계성을 구성하는 실제로 사용되는 설계이며, 재구성되기도 한다. 2. 교육현상에 대한 연구자의 인식론적 시각은 수업에 대한 질적 연구 수행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연구자는 자신이 연구하려는 세계..

교육연구방법 2021.09.10

내적타당도와 외적 타당도

김석우, 최태진(2014). 교육연구방법론, 서울:학지사. * 내적타당도: 실험처치 결과가 정말로 실험처치 효과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는가. * 외적타당도 : 실험결과의 대표성 혹은 일반화 가능성 이 두가지 타당도는 상충하는 면을 보인다. * Campbell & Stanley, 1963 내적 타당도와 외적타당도 저해요인 - 내적 타당도 저해요인 : 1. 역사(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사이에 발생한 사건), 2. 성숙(실험처치 이외의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나타나는 피험자의 성숙) 3. 검사(사전검사 받은 경험), 4. 도구사용(사전-사후간의 측정도구 변화나 관찰자나 채점자의 변화) 5. 통계적 회귀(피험자의 극단적인 점수토대로 선정), 6. 피험자의 선발(두 집단의 동질성 결여) 7. 피험자의 탈락(실험과정에..

교육연구방법 2018.10.26

사회과와 양적연구, 질적연구

사회과 교실 수업을 할 때에는 먼저 그 연구 주제와 문제에 따라 연구방법을 설정할 수 있다. 인과관계가 뚜렷하고 상관관계가 있는 연구 자료에 관하여서는 양적연구가 가능하다. 왜냐하면 연구자와 연구대상과의 관계가 가치중립적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설문지를 활용한 조사연구, 점검표에 따른 관찰연구에는 양적연구가 타당하다. 하지만 인과관계가 뚜렷하지 않고 특정한 현상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하고, 연구대상이 적은 연구에 대해서는 질적연구가 적절하다. 연구자와 연구대상과의 관계가 가치개입적이기 때문에 일반화하기는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관찰법이나 면접법을 활용한 사례연구, 문화기술적 연구가 이에 해당한다. 특히 사회과 교실 수업 연구분야에서는 양적 연구의 방법으로 한 연구보다는 질적 연구 부분이 더 많이 활용..

교육연구방법 2018.10.14

실행연구 과정(3-4단계) - 자료분석,해석 및 실행계획

실행연구과정의 공통점으로는 크게 4단계가 있다. 1. 초점영역의 확정 - 2. 자료 수집 - 3. 자료 분석과 해석-4. 실행계획 http://activemingming.tistory.com/74?category=765404 (1-2단계) 3. 자료분석과 해석 - 개념지도 만들기, 선행요인과 결과 분석 - 질적 연구자는 해석방식에 따른 위험, 어려움을 인정 - 비판적인 동료의 조언 구하기 - Wolcott(1994): 관련 문헌 속에서 연구 결과 맥락화하기, 이론 참조하기 4. 실행계획 - 연구결과, 권장된 실행, 책임자, 연구결과 동료와 공유하기, 모니터링(자료수집), 실행 일정표, 자원 등을 확인하고 실행할 것. Wolcott, H. F. (1994). Transforming qualitative d..

교육연구방법 2018.09.30

실행연구 과정1-2단계(초점영역, 자료수집)

실행연구과정의 공통점으로는 크게 4단계가 있다. 1. 초점영역의 확정 - 2. 자료 수집 - 3. 자료 분석과 해석-4. 실행계획 1. 초점영역의 확정 (교실 생활을 날마다 성찰함이 필요) - 일반적 아이디어 / 초점 영역 선택 기준 : 교수, 학습을 포함하고 실천에 초점을 맞추었는가? 통제 범위 내에 있는가? 열정을 느낄만한 것인가? 변화혹은 개선시킬 수 있는가? - 예비조사 : 이론, 교육적 가치, 역사적 맥락 - 기술, 설명 활동으로 초점 영역 통찰하기 - 관련 문헌 검토 - 개괄적인 실행 연구 계획 세우기(Elliott,1991;Kemmis&McTaggart,1998) (9단계 : 초점영역 진술 - 변인정의 - 연구문제 개발- 개입 개선사항 기술-실행연구집단의 구성원 기술 - 협의필요한 사항 기술..

교육연구방법 2018.09.30

실행 연구 모형

다양한 실행 연구과정 모형이 있다. Kurt Lewin(1952) - 나선형적 순환 과정 Stephen Kemmis(1988) - 나선형적 모형(Lewin 핵심특성 반영) Emily Calhoun(1994) - 실행 연구 순환 모형 Gordon Wells(1994) - 이상적인 실행 연구순환 모형 Ernest Stringer(1996) - 나선형으로 상호작용하는 실행연구모형 Richard Sagor(2000) - 7단계 과정 John Creswell(2002) - 역동적이고 유연한 실행연구 Mills(2005) - 변증법적 나선형 실행연구 Lewin, K. (1952). Group decision and social change. In G. E. Swanson, T.M Newcomb, & E.L. Har..

교육연구방법 2018.09.30

실행연구의 의의-비판적 실행연구, 실천적 실행연구

전통적 연구방법에는 가설을 세우고 그에 따른 변인을 통제하여 비교 연구하는 것을 시행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하지만 학급, 학교 상황에는 무수히 많은 변인이 존재하며, 통제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기존 연구자인 교수, 학자, 대학원생에 이루어진 연구자들은 이제는 교사인 동시에 연구자로서 실행하는 실행연구의 중요성이 있다. 이 실행연구는 연구결과를 보고하는데 그치지 않고 교육적 변화를 이끌 수 있는 선구자로서의 역할도 할 수 있다. 1934년 Kurt Lewin(1890-1947)에 처음 창안된 용어인 실행연구는 존 듀이로 대표되는 진보주의 교육에 뿌리를 두고 있다. 특히 실행연구의 핵심적 이론 두가지인 비판적 실행연구, 실천적 실행연구를 알아보자. 비판적 실행연구는 전통적인 과학적 방..

교육연구방법 2018.09.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