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연구방법

실행연구의 의의-비판적 실행연구, 실천적 실행연구

밍티쳐 2018. 9. 30. 15:19
반응형

  전통적 연구방법에는 가설을 세우고 그에 따른 변인을 통제하여 비교 연구하는 것을 시행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하지만 학급, 학교 상황에는 무수히 많은 변인이 존재하며, 통제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기존 연구자인 교수, 학자, 대학원생에 이루어진 연구자들은 이제는 교사인 동시에 연구자로서 실행하는 실행연구의 중요성이 있다. 이 실행연구는 연구결과를 보고하는데 그치지 않고 교육적 변화를 이끌 수 있는 선구자로서의 역할도 할 수 있다.

  1934년 Kurt Lewin(1890-1947)에 처음 창안된 용어인 실행연구는 존 듀이로 대표되는 진보주의 교육에 뿌리를 두고 있다. 특히 실행연구의 핵심적 이론 두가지인 비판적 실행연구, 실천적 실행연구를 알아보자. 비판적 실행연구는 전통적인 과학적 방법에 도전하는 포스트모더니즘 이론에 바탕을 두고 있다. Kennnedy(1997)에 따르면 기존 연구는 설득력이 없고 교사에 대한 감화력이 결여 되어 있으며, 교사의 일상적 실천과 무관하기때문에 연구가 실천에 영향력을 미치지 못한다고 하였다. 특히 비판적 실행연구는 Stringer(1996)은 민주적, 평등적, 해방적, 향상적이라는 특징을 가진다고 말했다. 이와는 조금 달리 방법적 접근이 더 강한 실천적 실행 연구가 있다. 이 연구는 교사 개인, 교사 집단이 자율적이며 수행할 연구의 성격을 결정할 수 있다고 가정하며, 교사 연구자는 전문성 신장, 학교 개선에 전념하며 자신의 실천에 대해 체계적으로 검토하기를 원한다고 가정하고 있다. 이 과정을 통해 초점 영역을 선택하고 자료 수집 기법을 결정하며 자신의 자료를 분석, 해석하며 그 결과에 기초하여 실행 계획을 개발한다고 가정한다.

 

 

 

출처 : 교사를 위한 실행연구 /제프리 E밀스 / 우리교육

<참고서적>

Noffke, S. (1994). Action research : Towards the next generation. Educatoional Action Research, 2(1), 9-18.

Kennedy, M. M.(1997). The connection between research and practice. Educational Researcher, 26(7), 4-12.

Stringer, E. T.(1996). Action research : A handbook for practitioners. Thousand Oaks, CA : Sage.

Osterman, K. F. & Kottkamp, R. B. (1993). Reflective practice for educators : Improving schooling through professional development. Newbury Park, CA:Corwin.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