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교육적으로, 교사가 연구자일때
실제적인 연구방법이 있다.
실행연구이다.
이 연구 방법은 기존과는 다르게
피드백 과정을 반영하고 있으며
직접 실행을 통해 수정할 수 있다.
특히 교사로서 실행하면서 의미있는
분석을 통해 유의미한 연구 결과를
도출한 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라 할 수 있다,
나도 이 연구방법인 실행연구를
통해 석사논문을 쓰기도 했다.
이 책은 교대의 여러 교수들이
번역을 한 책이기도 하다.
2005년에 번역된 이 책은
Action reasearch : A guide for the teacher researcher
1999년에 초판 발행되었다.
지금 이 책은 개정판으로 2017년에 6판까지
개정되었다. (지금도 핫한 책이라는 거다)
당연히 연구만 하는 연구자들, 박사과정, 석사과정
교수들의 연구결과도 의미가 있지만
그래도 실제적인 연구결과는
직접 현장교사들의 연구가 아닐까 한다.
질적연구상 일반화를 할 수 없다는
단점도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행연구는 현장교사연구자에게
실제적인 연구방법임에는 틀림없다.
이 책은 실행연구 책의 가이드 북으로
괜찮은 책이며, 번역을 해놓아서
이해하기가 쉽기도 하다.
반응형
'교육연구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행연구 과정(3-4단계) - 자료분석,해석 및 실행계획 (0) | 2018.09.30 |
---|---|
실행연구 과정1-2단계(초점영역, 자료수집) (0) | 2018.09.30 |
실행 연구 모형 (0) | 2018.09.30 |
실행연구의 의의-비판적 실행연구, 실천적 실행연구 (0) | 2018.09.30 |
연구방법론 - 질적연구 수행방법 (0) | 2018.09.21 |
연구방법론 - 질적연구의 의미 (0) | 2018.09.21 |
연구방법론 - 신뢰도 (0) | 2018.09.21 |
연구방법론 - 타당도 (0) | 2018.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