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회과교육 이론 35

사회과교육의 본질- 5가지 모형 (사회과교육, 차경수외, 2018:52-58)

사회과의 전통의 3가지를 시민성 전달, 사회과학, 반성적 탐구로서의 사회과교육으로 세 가지 모형으로 분류함(Barr, Barth, Shermis, 1978).Martorella(1991)은 여기에 Engle & Ochoa(1988)*, Nelson & Michaelis(1980)이 제시한 '합리적 사회비판'과 '개인발달' 두가지 범주 추가함1) 시민성 전달 모형사회과는 사회의 유지, 존속에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바람직한 지식, 기능, 가치를 가르쳐서 학생들이 미래의 훌륭한 시민이 되게 하는데 목적. 훌륭한 시민이란 사회에서 수용되는 가치, 관습, 규범을 내면화하고 이에 따라 행동하는 사람. 사회 유지, 존속을 위해 필요한 지식, 행위를 주요 학습내용으로 하며 가치, 신념이 더 중요한 학습요소임.   2) ..

사회과교육의 발달과정 5 -사회과교육(차경수 외, 2018:28-32)

신사회과 운동 이후 ~ 80년대의 사회과 교육1970년대 중반 이후부터 80년대 미국학교 문화, 사회전반에는 신자유주의와 보수주의가 팽배함. 사회과에서도 가치 토론이나 사회적 이슈중심의 간학문적 접근이 비판받음. 1970년대 후반 보수주의자들의 기초복귀운동(Back-to-basics)과 1983년 국가의 위기(A Nation at Risk)보고서로 미국의 위기는 교육의 실패라고 진단함. 전통적 역사의 강조됨. 1980년대 중후반 사회과는 이슈 중심의 사회과가 쇠퇴하고 전통적 역사교육이 강화됨.1980년대 후반, 90년대 나타난 다문화 교육 : 사회적 소수자가 교육의 내용에서 배제되어 온 문제점 지적함. 이에 반해 보수주의 교육과는 미국사회 분열을 초래한다고 비판함(Evans, 2004). 1990년대 이..

사회과교육의 발달과정4, 신사회과 운동 -사회과교육(차경수 외, 2018:25-28)

1960년대~70년대 초의 신사회과운동     가. 신사회과 운동의 배경 : 2차 세계대전의 종식 이후, 냉전시대의 시작과 함께 사회과는 사회문제 중심의 교육과정에서 학문중심적 교육과정의 방향으로 선회. 소련의 최초 인공위성의 발사 스푸트니크 충격으로 인한 교육문제 대두, 교육개혁을 시도하는 계기가 됨. Bruner의 교육의 과정 (The Process of Education)(1960) 보고서 : 모든 학문에는 구조가 있으며, 학생들이 이를 발견하도록 가르쳐야 함. 나선형 교육과정. 사회과학 중심의 사회과를 신사회과라 함.1940년대부터 자연과학의 통계학적인 연구방법이 사회현상을 연구하는데 사용되기 시작함. 사회문제에 직면하게 되고 이 진단과 해결을 위해 사회과학의 지식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됨. 문..

사회과교육의 발달과정3-사회과교육(차경수 외, 2018:23-25)

다. 1920~30년대 사회과의 발달1920~30년대는 사회과의 내용과 조직에 대한 다양한 접근이 시도되고, 사회과 수업 개설과 사회과에 대한 문헌이 폭발적으로 증가한 '사회과 운동(The Social Studies Movement)의 시기.진보주의와 존 듀이의 영향 : 학생들이 문제에 직면하여 참여할 수 있는 실제 상황에 대한 강조, 다양한 학교교과들의 연계와 통합, 사고력을 학습의 중심에 두는 경향교육과정의 통합적 접근에 대한 관심 증대 : 융합(중핵교육과정), 상관형, 문제중심접근1929년 대공항, 사회재건주의(social reconstructionism)의 관점 : 사회문제를 교육과정 중심에 두게 하는 계기를 만듦.라. 1940~50년대의 사회과 제 2차 세계대전의 발달, 전시체제의 영향으로 보수..

사회과교육의 발달과정2-사회과교육(차경수 외, 2018:21-23)

나. 최초의 사회과 교육과정 모형 : 1916년 보고서  - 사회과 교과의 등장 배경 : NEA의 중등교육개혁위원회(The Commission on the Reorganization of Sceondary Education : CRSE)을 만들어 새로운 교과에 대한 논의 진행, 1912년 NEA 사회과위원회(The Committee on Social Studies)의 등장. NEA 사회과 위원회에서 1914년 'A Preliminary Statement', 1915년 'The Teaching of Community Civics' 그리고 1916년 최종보고서 'The Social Studies in Secondary Education' 등의 보고서를 통해 사회과 교과의 필요성을 주장(Lybarger, 19..

사회과교육의 발달과정1(사회과교육(차경수, 모경환, 2018:19-21))

1916년 사회과 모형과 발달가. 학교 시민교육의 개혁 요구배경 : 19세기말 20세기 초반 미국사회, 이민자 급증, 산업화, 도시화, 노동문제, 인종차별 등 사회문제, 애국심을 가진 시민을 양성하는 교육 요청. 체계적이지 않은 역사적 정보, 지식으로 교재가 구성되고 주입식 암기교육이 주요한 수업방법. 전통적 교육에 대한 개혁 요구1892년 전미교육협회(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NEA)는 10인 위원회 조직(The Committee of Ten) : 8년간의 역사교육과정 제시, 토의토론, 시소설전기 등 문학작품 같이 활용할 것을 제안. 역사교과가 정착하는데 기여했으나 학교 프로그램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을 제공하지 못함(Evans, 2004).1896년 미국역사학회(Amer..

사회과교육의 개념(사회과교육(차경수, 모경환, 2018:12-14))

사회과 (Social studies)는 학생들에게 시민으로서의 자질을 교육하기 위한 학교의 교과를 의미함. 사회과교육의 정의      가. 사회과교육과 시민교육           사회과교육은 학습자들이 인간과 사회의 바람직한 관계를 연구하면서 사회문제를 탐구하고 사회생활에 필요한 시민의 자질을 함양하게 하려는 교육. 시민교육이나 시민성 교육의 한 부분.    나. 사회과 교육에 대한 다양한 정리 바아, 바스, 셔미스 : 사회과란 시민성 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인간관계에 관한 경험과 지식의 통합(Barr, Barth, & Shermis, 1977:69) 뱅크스 : 사회과는 지역사회, 국가, 세계의 시민생활에 참여하는데 필요한 지식, 기능, 태도 가치를 육성하는 초중학교의 교육과정(Banks, 1999, p...

사회과 교육의 개정교육과정(feat. 국가교육과정 정보센터)

교육의 큰 흐름을 알고 싶다면 개정교육과정 총론 및 각론을 확인할 필요성이 있다. 국가교육과정 정보센터 ncic.re.kr/ 우리나라뿐아니라 다른나라의 국가교육과정의 정보가 고루고루 있는 곳이다. 교육과정 총론 각론을 알아보려면 교육과정 자료실을 클릭해서 보면 된다. 원문과 해설서가 있다. 2015 개정교육과정 사회교육과정(2015.9)이 최근이다.

사회과의 가치교육방법

* 언어적 교훈주의 접근 : 훈시적 방법, 바람직하다고 생각되는 가치를 학생들에게 언어적인 방법으로 지도하는 것. 사실상 교화나 주입의 가능성이 높아 학생들의 세계관을 형성하는데 효과적이지 않다. * 발달단계 접근법 : 학생들이 도덕성이 발달하는 단계에 따라 가치판단을 할 수 있는 도덕적 판단능력을 길러주는 방법. 학생이 구체적으로 행할 행동을 지시하지않고 학생 자신이 선택 결정하기 위해 도덕적 선택과 판단을 필요로 하는 상황을 학생에게 주고 학생 스스로 결정하게 하는 것. 그러나 도덕발달 단계가 선험적으로 주어진 것에 대한 비판이 있고 도덕성의 형식이나 수준을 단계화하여 우열을 가리는 것이 적절한지 논란도 남아있다. *콜버그의 6단계 - 복종과 벌의 단계 - 남을 수단적으로 이용하여 자신의 욕구를 충족..

사회과의 가치교육

*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전통과 근대의 갈등이 생기고 사회구성원 개인적, 사회적으로 안정을 전해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다양한 전통, 세계관, 인간관이 존재하는 다원주의 사회에서 다원적 가치의 충돌과 갈등이 발생하고 있다. * 의사결정의 가치 - 개인적 의사결정 : 개인생활에서의 의사결정과 가치문제는 일상생활과 관련이 있다. - 집단의 의사결정 : 단순히 개인의 의사결정, 선택만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쟁점되는 가치문제는 집단의 의사결정, 선택을 통해 이루어진다. * 사회과에서 가치교육의 역할 - 교사가 특정한 가치를 학생에게 강요하지 않고 학생들이 소유하고 있는 가치를 명백하게 평가하고 그러한 가치에 바탕을 두어 스스로 결정을 내릴 수 있는 능력을 발달해야 한다. 그래서 학생들이 올바른 가치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