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교육 이론

사회과교육의 발달과정3-사회과교육(차경수 외, 2018:23-25)

밍티쳐 2025. 2. 16. 15:24
반응형

. 1920~30년대 사회과의 발달

1920~30년대는 사회과의 내용과 조직에 대한 다양한 접근이 시도되고, 사회과 수업 개설과 사회과에 대한 문헌이 폭발적으로 증가한 '사회과 운동(The Social Studies Movement) 시기.

  • 진보주의와 듀이의 영향 : 학생들이 문제에 직면하여 참여할 있는 실제 상황에 대한 강조, 다양한 학교교과들의 연계와 통합, 사고력을 학습의 중심에 두는 경향
  • 교육과정의 통합적 접근에 대한 관심 증대 : 융합(중핵교육과정), 상관형, 문제중심접근
  • 1929 대공항, 사회재건주의(social reconstructionism) 관점 : 사회문제를 교육과정 중심에 두게 하는 계기를 만듦.

. 1940~50년대의 사회과

  2 세계대전의 발달, 전시체제의 영향으로 보수주의 움직임 강화. 애국적인 시민의 양성과 전통적인 역사교육강화.사회문제 접근에서 분과 학문적 접근으로 회귀하게 .

차경수 모경환(2018). 사회과교육 2. 동문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