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신사회과 운동 이후 ~ 80년대의 사회과 교육
- 1970년대 중반 이후부터 80년대 미국학교 문화, 사회전반에는 신자유주의와 보수주의가 팽배함. 사회과에서도 가치 토론이나 사회적 이슈중심의 간학문적 접근이 비판받음. 1970년대 후반 보수주의자들의 기초복귀운동(Back-to-basics)과 1983년 국가의 위기(A Nation at Risk)보고서로 미국의 위기는 교육의 실패라고 진단함. 전통적 역사의 강조됨. 1980년대 중후반 사회과는 이슈 중심의 사회과가 쇠퇴하고 전통적 역사교육이 강화됨.
- 1980년대 후반, 90년대 나타난 다문화 교육 : 사회적 소수자가 교육의 내용에서 배제되어 온 문제점 지적함. 이에 반해 보수주의 교육과는 미국사회 분열을 초래한다고 비판함(Evans, 2004).
- 1990년대 이후의 사회과교육
가. 표준중심 개혁운동 : 표준화(standardization). 국가의 위기와 함께 촉발된 높은 수준의 '표준'을 제정하고 실행하는 '표준중심 교육개혁'
- NCSS(1994년, The Curriculum Standards for Social Studies) 교육과정 표준서 자체 개발함. 사회과 핵심적인 주제 스트랜드(Strand) 10가지 : 문화, 시간계속성변화, 사람장소환경, 개인의 발달과 정체성, 개인집단제도, 권력권위통치, 생산분배소비, 과학기술사회, 세계속의시민, 공민적 이상과 실천(National Council for the Social Studies, 1994).
- 주 단위 표준 제정, 표준에 따른 교과서 사용, 학업성취 평가.
- NCLB(전원성취법, No Child Left Behind) : 주 단위 교육과정 마련, 이에 따른 평가 시행
나. 공통핵심기준과 C3 Framework
2010년 오마바 정부 수학 영어의 공통핵심기준(Common Core State Standards: CCSS) 발표.
- 주지사협의회, 주교육감협의회 주도로 공통핵심기준 개발. 대학, 직업 준비도 기준 마련, 이에 따른 k-12 학년별 기준 작성. 국가수준의 내용 기준 구실.
- 수학, 영어에 이어 2013년 과학, 사회과도 공동핵심기준 구체화함. C3 Framework(Colleges, Career, and Civic Life Framework for Social Studies Stat Standards)(NCSS, 2013).
- 탐구과정을 4 단계로 나눔. 문제제기와 탐구계획, 교과개념 및 도구 적용, 자료 평가와 근거제시, 결론 전달 및 식견있는 행동
Evans, R. W.(2004). The Social Studies Wars. New York: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National Council for the Social Studies(NCSS) (1994). Curriculum standards for social studies. Washington, D.C.: National Council for the Social Studies.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2013). Social Studies for the next generation: purpose, practices, and implications of the college, career, and civic life(C3) framework for social studies state standards, Washington, DC:National Council for the Social Studies.
차경수 모경환(2018). 사회과교육 제2판. 동문사.
반응형
'사회과교육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과교육의 본질- 5가지 모형 (사회과교육, 차경수외, 2018:52-58) (1) | 2025.02.17 |
---|---|
사회과교육의 발달과정4, 신사회과 운동 -사회과교육(차경수 외, 2018:25-28) (0) | 2025.02.16 |
사회과교육의 발달과정3-사회과교육(차경수 외, 2018:23-25) (0) | 2025.02.16 |
사회과교육의 발달과정2-사회과교육(차경수 외, 2018:21-23) (0) | 2025.02.16 |
사회과교육의 발달과정1(사회과교육(차경수, 모경환, 2018:19-21)) (0) | 2025.02.14 |
사회과교육의 개념(사회과교육(차경수, 모경환, 2018:12-14)) (0) | 2025.02.14 |
사회과 교육의 개정교육과정(feat. 국가교육과정 정보센터) (0) | 2021.03.04 |
사회과의 가치교육방법 (0) | 2018.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