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교육 이론

사회과교육의 발달과정4, 신사회과 운동 -사회과교육(차경수 외, 2018:25-28)

밍티쳐 2025. 2. 16. 15:45
반응형
  1. 1960년대~70년대 초의 신사회과운동

     . 신사회과 운동의 배경 : 2 세계대전의 종식 이후, 냉전시대의 시작과 함께 사회과는 사회문제 중심의 교육과정에서 학문중심적 교육과정의 방향으로 선회. 소련의 최초 인공위성의 발사 스푸트니크 충격으로 인한 교육문제 대두, 교육개혁을 시도하는 계기가 .

  • Bruner 교육의 과정 (The Process of Education)(1960) 보고서 : 모든 학문에는 구조가 있으며, 학생들이 이를 발견하도록 가르쳐야 . 나선형 교육과정. 사회과학 중심의 사회과를 신사회과라 .
  • 1940년대부터 자연과학의 통계학적인 연구방법이 사회현상을 연구하는데 사용되기 시작함. 사회문제에 직면하게 되고 진단과 해결을 위해 사회과학의 지식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됨. 문제해결력, 비판적 사고력, 의사결정력 고차적 사고력 강조, 내용은 인류의 생존과 관련된 문제를 포함함.
  • 사회과의 교수방법은 발견학습, 탐구학습, 학제적 접근법이 강조.
  • 한계 :  평등, 공정성, 사회문제에 대한 참여 등을 소홀히 다룸. 전문가 집단이 개발한 자료는 어렵고 학생수준을 벗어난 경우가 많음.
  • 후에 학습자의 역할을 중시하는 구성주의 교수이론의 배경이 . 교수-학습에 있어서 매체의 활용을 권장, 가치교육을 강조했다는 의의가 있음.

 

Bruner. J. S.(1960). The process of education. Cambridge, MA:Harvard Unviersity Press.

____________(1960). The process of education. Cambridge, Mass:Harvard Unviersity Press.

차경수 모경환(2018). 사회과교육 2. 동문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