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과의 전통의 3가지를 시민성 전달, 사회과학, 반성적 탐구로서의 사회과교육으로 세 가지 모형으로 분류함(Barr, Barth, Shermis, 1978).
- Martorella(1991)은 여기에 Engle & Ochoa(1988)*, Nelson & Michaelis(1980)이 제시한 '합리적 사회비판'과 '개인발달' 두가지 범주 추가함
1) 시민성 전달 모형
사회과는 사회의 유지, 존속에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바람직한 지식, 기능, 가치를 가르쳐서 학생들이 미래의 훌륭한 시민이 되게 하는데 목적. 훌륭한 시민이란 사회에서 수용되는 가치, 관습, 규범을 내면화하고 이에 따라 행동하는 사람. 사회 유지, 존속을 위해 필요한 지식, 행위를 주요 학습내용으로 하며 가치, 신념이 더 중요한 학습요소임.
2) 사회과학 모형
사회과학의 탐구방법과 학문 구조를 습득한 미래시민을 양성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함. 사회과학의 지식, 개념, 일반화, 이론 등을 체계적으로 교육하는 것과 사회과학적인 탐구력을 육성하는 것을 강조. 문제 선정이나 문제해결을 위한 의사결정에 가치가 개입되지만, 사회과학 모형에서는 가치판단을 배제하고 있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지적됨.
3) 반성적 탐구 모형
실생활에서 직면하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의사 결정 능력을 함양. 학습자 자신의 가치 체계를 명료화하는 것을 중요시한다. 경험-> 의심과 불확실성 -> 문제 체계화 ->가설 설정 -> 탐색과 검증 -> 일반화의 과정을 거치며, 전 과정의 핵심은 토론이다. Oliver & Shaver(1966)는 대립하는 가치를 분석하고 합리적인 의사 결정에 도달하는 방안으로 공공문제를 탐구하는 논쟁문제 수업 모형을 제안함.
4) 사회비판 모형
학생들에게 과거의 전통, 현재의 사회적 관행, 문제 해결양식 등에 대해 검토, 비판하고 대안을 모색하는 기회를 제공.
5) 개인발달모형
Nelson & Michaelis(1980). 학생 중심의 진보주의와 실존주의 철학에 기초. 긍정적인 자아개념, 자아의 발달 및 성취, 개인적 효능감, 개인을 위한 취업준비, 행복한 생활 능력 함양.
Barr, R. D., Barth, J. L. & Shermiss, S. S.(1978). The Nature of the social studies. ETC Publications
Engle, S. H., & Ochoa, A. S. (1988). Education for democratic citizenship: Decision making in the social studies. Teachers College Press.
Nelson, J. L. & Michaelis, J. U.(1980). Secondary social studies: Instruction, curriculum, evaluation.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Martorella, P. H.(1991). Teaching social studies in middle and secondary schools. New York:Macmillan.
Oliver, D. W. & Shaver, J. P.(1966). Teaching public issues in the high school. Boston: Houghton Mifflin Company.
차경수 모경환(2018). 사회과교육 제2판. 동문사.
*책에는 Engle(1977)의 책이라고 써있으나 합리적 사회비판 모형을 구체화한 책은 Engle & Ochoa라 수정함(by 밍티쳐)
'사회과교육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과교육의 발달과정 5 -사회과교육(차경수 외, 2018:28-32) (0) | 2025.02.16 |
---|---|
사회과교육의 발달과정4, 신사회과 운동 -사회과교육(차경수 외, 2018:25-28) (0) | 2025.02.16 |
사회과교육의 발달과정3-사회과교육(차경수 외, 2018:23-25) (0) | 2025.02.16 |
사회과교육의 발달과정2-사회과교육(차경수 외, 2018:21-23) (0) | 2025.02.16 |
사회과교육의 발달과정1(사회과교육(차경수, 모경환, 2018:19-21)) (0) | 2025.02.14 |
사회과교육의 개념(사회과교육(차경수, 모경환, 2018:12-14)) (0) | 2025.02.14 |
사회과 교육의 개정교육과정(feat. 국가교육과정 정보센터) (0) | 2021.03.04 |
사회과의 가치교육방법 (0) | 2018.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