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교육 이론

사회과교육의 발달과정1(사회과교육(차경수, 모경환, 2018:19-21))

밍티쳐 2025. 2. 14. 12:29
반응형
  1. 1916 사회과 모형과 발달

. 학교 시민교육의 개혁 요구

  • 배경 : 19세기말 20세기 초반 미국사회, 이민자 급증, 산업화, 도시화, 노동문제, 인종차별 사회문제, 애국심을 가진 시민을 양성하는 교육 요청. 체계적이지 않은 역사적 정보, 지식으로 교재가 구성되고 주입식 암기교육이 주요한 수업방법. 전통적 교육에 대한 개혁 요구
  • 1892 전미교육협회(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NEA) 10 위원회 조직(The Committee of Ten) : 8년간의 역사교육과정 제시, 토의토론, 시소설전기 문학작품 같이 활용할 것을 제안. 역사교과가 정착하는데 기여했으나 학교 프로그램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을 제공하지 못함(Evans, 2004).
  • 1896 미국역사학회(American Historical Association:AHA) 7 위원회(The Committee of Seven) 지식전달 중심의 역사교육에서 벗어나 역사적 이해력, 역사적 사고력 길러주는 역사교육 강조. 4단계 역사교육(고대사, 중세근대유럽사, 영국사, 미국사 시민정부) 4년간 역사교육프로그램 제안. 고대사의 지나친 강조와 시민정부에 대한 관심 부족의 한계(Hertzberg, 1981).

 

참고문헌

Evans, R. W.(2004).  The Social Studies Wars. New York: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Hertzberg, H. W.(1981). Social Studies Reform 1880-1980. ED211429

차경수 모경환(2018). 사회과교육 2. 동문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