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교육 이론

사회과교육의 개념(사회과교육(차경수, 모경환, 2018:12-14))

밍티쳐 2025. 2. 14. 11:58
반응형

사회과 (Social studies) 학생들에게 시민으로서의 자질을 교육하기 위한 학교의 교과를 의미함.

  1. 사회과교육의 정의

      . 회과교육과 시민교육

           사회과교육은 학습자들이 인간과 사회의 바람직한 관계를 연구하면서 사회문제를 탐구하고 사회생활에 필요한 시민의 자질을 함양하게 하려는 교육. 시민교육이나 시민성 교육의 부분.

    나. 사회과 교육에 대한 다양한 정리

  •  바아, 바스, 셔미스 : 사회과란 시민성 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인간관계에 관한 경험과 지식의 통합(Barr, Barth, & Shermis, 1977:69)
  •  뱅크스 : 사회과는 지역사회, 국가, 세계의 시민생활에 참여하는데 필요한 지식, 기능, 태도 가치를 육성하는 초중학교의 교육과정(Banks, 1999, p.3)
  •  울레버와 스캇 : 사회과교육은 과학적 방법으로 얻어진 지식과 체계적으로 형성된 개인적 가치관을 기초로 하여 합리적으로 의사결정을 하고 행동하는 것을 목적으로 가르치는 모든 경험의 총체(Woolever & Scott, 1988, p.18).
  •  마토렐라 : 사회과는 인간의 사회생활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사회과학적 지식과 탐구방법을 시민교육이라는 목표를 위해 구성한 교과목(Martorella, 1991, p.37)
  • 차경수 모경환(2018) : 사회과는 학생들이 사회생활에 필요한 지식, 기능, 가치 태도 등을 학습하여 민주사회에 요청되는 시민의 자질을 함양하게 하려는 학교의 교과목

 

 참고문헌

Banks, J. A.(1999). Teaching strategies for the social Studies(5th ed). White Plains, NY:Longman.

Barr, R. D., Barth, J. L. & Shermiss, S. S.(1977). Defining the social studies. Washington, D. C. : National Council for the Social Studies.

Martorella, P. H.(1991). Teaching social studies in middle and secondary schools. New York:Macmillan.

Woolever, R. & Scott, K. P.(1988). Active learning in social studies. Glenview, IL.: Scott, Foresman & Company.

 차경수 모경환(2018). 사회과교육 2. 동문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