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회과교육 이론 35

사회과교육개론 / 1. 사회과의 개념과 역사-2 미국사회과 시민성

1. 사회과의 개념과 역사 2. 사회과의 목표 3. 사회과의 영역 4. 사회과교육의 이론적 모형 5. 사회과 교육과정 6. 사회과 수업모형 7. 사회과교육의 평가 8. 사회과 교육의 새로운 이슈 사회과의 목표가 어떻게 변했는지 역사적으로 짚어볼 필요가 있다. 먼저 1892년부터 NEA(미국교육학회)는 공교육 목적은 훌륭한 시민(애국적 시민)을 의미했다. 우리가 지금 생각하는 민주질서를 잘 지키며 인권을 보호하고 정치에 참여하는 시민이라는 의미과 거리가 있다는 것이다. 그때 당시의 목표는 애국적 시민 육성이다. 이 신념은 1970년까지 사회과교육자들에게 팽배한 신념이였다. 1917년 1차 세계대전의 참전, 1937-1945년까지 2차 세계대전이라는 세계 역사의 소용돌이에서 미국사회과는 애국적인 시민 양성이..

사회과교육 관련 논문 및 책 리스트

사회과교육 관련한 책과 논문을 정리하고자 한다. * 저서 1. 박상준(2016), 사회과교육의 이해(개정판), 교육과학사. - 사회과교육의 개론적인 부분 2. 차경수, 모경환(2008), 사회과교육, 학문사. - 한국 사회과 역사 기술, 의사결정수업, 논쟁수업 3. 한면희(2002), 사회과교육, 교육과학사. 4. 최용규 외(2005),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수업까지, 교육과학사. 1. Evans, R. W.(2004). The social studies Wars : What Should WE teach the childrean?,N.Y.: Teachers College Press, Columbia Univ. - 사회과교육의 개념, 역사 부분에 인용됨, 알라딘에서 구매가능. - 사회과 논쟁, 20세기 교..

사회과교육개론/ 1. 사회과의 개념과 역사 -1

1. 사회과의 개념과 역사 2. 사회과의 목표 3. 사회과의 영역 4. 사회과교육의 이론적 모형 5. 사회과 교육과정 6. 사회과 수업모형 7. 사회과교육의 평가 8. 사회과 교육의 새로운 이슈 사회과는 어떻게 생겼는지 그 역사는 어떻게 되는지 아주 기본적인 내용이라 할 수 있다. 사회과라는 개념은 우리나라에서 비롯되었다기보다는 미국에서 시작되었다. 그리고 그 개념이 1946년 광복 이후에 미군정에 의해 우리나라로 도입된 것이다. 그래서 사회과라는 개념을 알기 위해서는 먼저 미국의 사회과를 알아보아야 한다. 하지만 미국이 사회과를 도입했다고 하더라도 갑자기 생긴 것은 사회과가 아니다. 사회과는 지리, 역사, 정치, 법, 경제, 사회문화 교육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것을 유럽도 가르치고 있다. 다만 유럽은..

사회과교육개론 정리하기

사회과교육을 한다고 몇년을 공부했지만 뭔가 딱 정리해놓은 것이 없어서, 이제 체계적으로 공부하고자 한다. 정리해 놓은 책을 기준으로 나만의 강의 목록을 세워봅시다. 사회과교육을 처음 배우는 학생들에게 가르칠 수 있는 기초단계의 강의다. 1. 사회과의 개념과 역사 2. 사회과의 목표 3. 사회과의 영역 4. 사회과교육의 이론적 모형 5. 사회과 교육과정 6. 사회과 수업모형 7. 사회과교육의 평가 8. 사회과 교육의 새로운 이슈

사회과교육학 교재 - 사회과교육의 이론과 실제 / 박상준

- 내가 학부시절, 임용고시를 공부하면서 참고했던 책이다. - 사회과교육학의 전체적이고 기본적인 부분이 수록되어 있다. 자주 보았던 부분은 바로, 사회과 개념과 역사, 사회과 수업 모형이다. - 사회과교육을 입문하는 사람들에게 추천할 만한 책이다. 또한 교육전문대학원의 입시 자료로도 괜찮다. 이 정도를 이해하고 어느 정도 외우고 가면 전공필답 고사는 무난히 치를 수가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