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회과교육개론>
1. 사회과의 개념과 역사
2. 사회과의 목표
3. 사회과의 영역
4. 사회과교육의 이론적 모형
5. 사회과 교육과정
6. 사회과 수업모형
7. 사회과교육의 평가
8. 사회과 교육의 새로운 이슈
사회과는 어떻게 생겼는지 그 역사는 어떻게 되는지 아주 기본적인 내용이라 할 수 있다. 사회과라는 개념은 우리나라에서 비롯되었다기보다는 미국에서 시작되었다. 그리고 그 개념이 1946년 광복 이후에 미군정에 의해 우리나라로 도입된 것이다. 그래서 사회과라는 개념을 알기 위해서는 먼저 미국의 사회과를 알아보아야 한다.
하지만 미국이 사회과를 도입했다고 하더라도 갑자기 생긴 것은 사회과가 아니다. 사회과는 지리, 역사, 정치, 법, 경제, 사회문화 교육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것을 유럽도 가르치고 있다. 다만 유럽은 사회과라는 개념이 없다.
이와 다르게 미국은 사회과라는 개념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한 것에서 다른 나라와 차별화된 점이 있다. 왜 이런 교육과정이 필요하냐면 미국은 다양한 인종이 이주해 있는 나라다. 그렇기에 인종 갈등이 다른 나라에 비해 더 심화되었고 이 문제가 사회문제로 발전될 수 있다.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사회를 통합하기 위해 미국은 사회과교육이 필요해졌다.
1. 사회과의 개념과 역사
2. 사회과의 목표
3. 사회과의 영역
4. 사회과교육의 이론적 모형
5. 사회과 교육과정
6. 사회과 수업모형
7. 사회과교육의 평가
8. 사회과 교육의 새로운 이슈
사회과는 어떻게 생겼는지 그 역사는 어떻게 되는지 아주 기본적인 내용이라 할 수 있다. 사회과라는 개념은 우리나라에서 비롯되었다기보다는 미국에서 시작되었다. 그리고 그 개념이 1946년 광복 이후에 미군정에 의해 우리나라로 도입된 것이다. 그래서 사회과라는 개념을 알기 위해서는 먼저 미국의 사회과를 알아보아야 한다.
하지만 미국이 사회과를 도입했다고 하더라도 갑자기 생긴 것은 사회과가 아니다. 사회과는 지리, 역사, 정치, 법, 경제, 사회문화 교육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것을 유럽도 가르치고 있다. 다만 유럽은 사회과라는 개념이 없다.
이와 다르게 미국은 사회과라는 개념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한 것에서 다른 나라와 차별화된 점이 있다. 왜 이런 교육과정이 필요하냐면 미국은 다양한 인종이 이주해 있는 나라다. 그렇기에 인종 갈등이 다른 나라에 비해 더 심화되었고 이 문제가 사회문제로 발전될 수 있다.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사회를 통합하기 위해 미국은 사회과교육이 필요해졌다.
이렇게 사회과 교육과정을 체계화할 필요성이 있어진 미국 사회과는 미국교육학회(NEA)의 10인 위원회 활동에서부터 1892년에 시작되었다. 그래서 1894년 보고서를 통해 역사교육을 중등교과로 공식화하는 등 제안하였으나 사회과교육과정의 구체적인 지침을 제시하지 못했다. 다시 1896년 미국역사학회(AHA)가 다시 7인 위원회를 구성하여 역사교육 4영역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사회과(social studies)라는 용어가 등장하고 사회과교육과정의 체계적인 논의가 시작된 것은 20세기 초반부터였다. 1915년에 NEA의 사회과위원회(Commitee on the Social Studies)은 훌륭한 시민(애국적 시민)의 양성을 공교육 목표로 제시하고 사회과를 만들기 시작하였다. 1916년 중등학교에서의 사회과라는 보고서를 통해 7-9학년은 지리, 유럽사, 미국사, 공민으로 10-12학년에서 유럽사, 미국사, 민주주의 문제들로 구성하는 사회과 교육과정을 제시하였다.
반응형
'사회과교육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과교육개론 / 2. 사회과목표 (0) | 2018.09.10 |
---|---|
사회과교육개론 / 1. 사회과의 개념과 역사-시민성 관점 (0) | 2018.09.09 |
사회과교육개론 / 1. 사회과의 개념과 역사-한국사회과교육과정 (0) | 2018.09.09 |
사회과교육 관련 사이트 (0) | 2018.09.05 |
사회과교육개론 / 1. 사회과의 개념과 역사-2 미국사회과 시민성 (0) | 2018.09.05 |
사회과교육 관련 논문 및 책 리스트 (0) | 2018.09.05 |
사회과교육개론 정리하기 (0) | 2018.09.02 |
사회과교육학 교재 - 사회과교육의 이론과 실제 / 박상준 (0) | 2018.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