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교육 관련한 책과 논문을 정리하고자 한다.
* 저서
<국내>
1. 박상준(2016), 사회과교육의 이해(개정판), 교육과학사.
- 사회과교육의 개론적인 부분
2. 차경수, 모경환(2008), 사회과교육, 학문사.
- 한국 사회과 역사 기술, 의사결정수업, 논쟁수업
3. 한면희(2002), 사회과교육, 교육과학사.
4. 최용규 외(2005),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수업까지, 교육과학사.
<국외>
1. Evans, R. W.(2004). The social studies Wars : What Should WE teach the childrean?,N.Y.: Teachers College Press, Columbia Univ.
- 사회과교육의 개념, 역사 부분에 인용됨, 알라딘에서 구매가능.
- 사회과 논쟁, 20세기 교실 사회수업(보수적인 부분 조명)
2. Wesley, E. B.(1937), Teaching The social studies: Theory and practice, Boston: D. C. Heath.
Wesley, E.B.& Wronski, S. P.(1958), Teaching Social Studies in High Schools, Boston: D.C. Heath.
- 원본찾기가 어려움, 사회과학적 지식에 대한 사회과교육 정의
3. Fenton, E.(1966), Teaching the New Social Studies in Secondary School: An Inductive Approach, (N. Y.:Holt, Rinehart&Winston.
- 원본찾기 어려움, 사회과학탐구에 대한 사회과교육 정의
4. Massialas, B. G. & Cox, C. B.(1966), Inquiry in Social Studies, N. Y.:Megraw Hill Book co.
- 원본찾기 어려움, 사회과학탐구에 대한 사회과교육 정의
5. Woolever, R. M & Scott K. P.(1988), Active Learning in Social Studies Promoting Cognitive and Social Growth, Glenview, I11.:Soctt, Foresman and Co.
- 합리적 의사결정 및 사회적 행위에 대한 사회과교육 목표 정의, 사회과목표분류, 사회과 관점, 의사결정수업, 탐구수업
6. NCSS관련 논문
가. NCSS(1989). Essential Skills for Social Studies, Social Education, Oct.
나. ______(1994), Expectations of Excellence :Curriculum Standards for Social Studies, Washington, D.C.: National Council for the Social Studies.
- 사회과에 대한 정의(공공선, 합리적 의사결정), 주제 스트랜드 모형
다. ______(1997), "Fostering Civic Virtue : Character Education in the Social Studies", NCSS Position Statement. NCSS Task Force on Character Education in the Social Studies.
- 시민덕목
라._______(2001), A Sampler of Curriculum Standards for Social Studies Education: Expectations of Excellence, Upper Saddle River, N.J.:Merrill Prentice Hall.
- 주제 스트랜드
마._______(2001b), "Creating Effective Citizens" Position Statement of NCSS. NCSS Task Force on Revitalizing Citizenship Education. 2001. 5.
- 사회과에 대한 정의(유능한 시민)
바._______(2008), "A Vision of Powerful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Social Studies: Building Social Understanding and Civic Efficacy", Position Statement of NCSS.2008.5.
- 사회과에 대한 정의(유능하고 책임감 있는 시민)
사._______(2009), "NCSS position Statement on Media Literacy", 2009.3.23.
7. Nelson,J.L.&Michaelis, J.U.(1980), Secondary Social Studies Instruction, Curriculum, Evaluation, Englewwod Cliffs : Prentice-Hall Inc.
- 시민성 6단계, 사회과목표분류, 5가지 사회과 전통
8. Heater, D.(1990), Citizenship: The Civic Ideal in World History, Politics and Eucation, London: Longman.
- 다중시민성
9. Banks, J. A(1990), Teaching Strategies for the Social Studies, 4th ed. New York:Longman.
- 사회과 교육과정 조직원리, 나선형 교육과정, 탐구수업, 의사결정수업
10. Duplass, J.A.(2004), Teaching Elementary Social Studies, Boston:Houghton Mifflin Co.
- 환경 확대법, 주제통합교육과정
11. Howard, R.W.(1987), Concepts and Schemata, London: Cassel.
- 개념모형의 분류
12. Savage, T. V.& Armstrong, D. G.(2000), Effective Teaching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4th eds. New Jersey:Prentice-Hall Inc.
-탐구수업
13. Newmann, F. M.(1970), Clarifying Public Controversy : An Approach to Teaching Social Studies, BostonL Little Brown and Co.
- 논쟁수업
14. Jonassen, D. H.& Grabowski, B, L.(1993), Handbook of Individual Differences, Learning and Instruction, N.J.:Lawrence Ewbaum Associates.
-문제해결 학습
15. Oliver, D. W. & Shaver, J.P.(1966), Teaching Public Issues in the High school, Boston:Houghton Mifflin co.
-논쟁수업(법리모형)
<번역본>
1. Banks, J.A.(1977), Teaching Strategies for the Social studies: Inquiry, Valuing, and Decision Making, 2th. ed./ 최병모 외 공역(1989), 사회과 교수법과 교재연구, 교육과학사.
- 합리적 의사결정 사회과교육 목표 정의, 의사결정수업, 절판되어 번역본 찾기 어려움.
2. Barr, R.,Barth, J. L., Shermis, S.S.(1978), The Nature of The Social Studies /최충옥 외 공역(2001), 사회과 교육의 이해, 서원.
- 사회과이론의 전통, 현재 절판됨.
3. Banks, J. A(2008), An Introduction to Multicutural Education, 4th ed./모경환 외 고영ㄱ, 다문화 교육 입문, 아카데미프레스
- 다문화교육
* 논문 및 학회지
<국내>
1.
<국외>
1. Barth, J.L.& Shermis, S.S.(1970), "Defining the Social Studies: An Exploration of Three Traditions", in Social Education, Vol. 34. No. 7. NCSS.
- 원본 찾기가 어려움. 애국적 시민성 육성 내용
2. Engle, S. H.(1960), "Decision Making", in Social Education, Vol. 24. Nov.,NCSS
Engle, S. H.(1980), "Decision Making": The Heart of Social Studies", in Social Education, Vol. 44. May, NCSS.
- 의사결정이 사회과 목표로 정의
3. Martorella, P.H.& Beal, C.(2002), Social Studies for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Columbus: Merrill Prentice Hall.
- 사회과 정의(유능한 시민)
4. Wraga, W. G.(1993), "The Interdisciplinary Imperative for Eitizenship Education", Theory and Research in Social Education, Vol.X XI, No. 3.
- 통합교육과정
'사회과교육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과교육개론 / 2. 사회과목표 (0) | 2018.09.10 |
---|---|
사회과교육개론 / 1. 사회과의 개념과 역사-시민성 관점 (0) | 2018.09.09 |
사회과교육개론 / 1. 사회과의 개념과 역사-한국사회과교육과정 (0) | 2018.09.09 |
사회과교육 관련 사이트 (0) | 2018.09.05 |
사회과교육개론 / 1. 사회과의 개념과 역사-2 미국사회과 시민성 (0) | 2018.09.05 |
사회과교육개론/ 1. 사회과의 개념과 역사 -1 (0) | 2018.09.02 |
사회과교육개론 정리하기 (0) | 2018.09.02 |
사회과교육학 교재 - 사회과교육의 이론과 실제 / 박상준 (0) | 2018.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