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회과 교실 수업을 할 때에는 먼저 그 연구 주제와 문제에 따라 연구방법을 설정할 수 있다. 인과관계가 뚜렷하고 상관관계가 있는 연구 자료에 관하여서는 양적연구가 가능하다. 왜냐하면 연구자와 연구대상과의 관계가 가치중립적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설문지를 활용한 조사연구, 점검표에 따른 관찰연구에는 양적연구가 타당하다.
하지만 인과관계가 뚜렷하지 않고 특정한 현상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하고, 연구대상이 적은 연구에 대해서는 질적연구가 적절하다. 연구자와 연구대상과의 관계가 가치개입적이기 때문에 일반화하기는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관찰법이나 면접법을 활용한 사례연구, 문화기술적 연구가 이에 해당한다.
특히 사회과 교실 수업 연구분야에서는 양적 연구의 방법으로 한 연구보다는 질적 연구 부분이 더 많이 활용된다. 대규모 연구 대상으로 연구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다양한 변인이 존재하기 때문에 변인을 통제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이다. 그래서 양적연구에 비해 질적연구는 소규모 샘플을 수집하고 샘플의 개별적 특징을 추출하고 일반화보다는 각 사건에 대한 구체적 진술이나 인터뷰, 관찰을 수행한다.
반응형
'교육연구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학적 연구의 진행절차(이훈영, 2015, pp. 47-58) (0) | 2025.03.21 |
---|---|
올바른 연구문제 설정 기준, 가설, 구성개념(이훈영, 2015, 30-38) (0) | 2025.03.21 |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비교 (0) | 2021.09.10 |
내적타당도와 외적 타당도 (0) | 2018.10.26 |
실행연구 과정(3-4단계) - 자료분석,해석 및 실행계획 (0) | 2018.09.30 |
실행연구 과정1-2단계(초점영역, 자료수집) (0) | 2018.09.30 |
실행 연구 모형 (0) | 2018.09.30 |
실행연구의 의의-비판적 실행연구, 실천적 실행연구 (0) | 2018.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