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다문화 교육은 비주류 문화, 소수민족에 대한 관심에서 장애인, 여자 등을 포함하는 소수집단에 대한 관심까지 증폭되었다. 한편으로는 다문화 교육이 문화에 대한 관심보다는 차별을 받지 않은 교육, 평등교육에 더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단순히 문화적인 포용을 위한 다문화 교육이 아닌 확장된 의미로의 교육으로 보아야 한다. Banks(1993)는 개인의 본원적 가치를 인정하고 자질을 개발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민주주의 이념에 입각하여 다문화 교육을 통해 미국의 교육기관 구조를 바꾸는 것이 요구된다고 주장하였다. 특히 평등이념에 부합하도록 모든 학생을 위한 교육과정을 제공한다고 하였다.
<참고서적>
김혜온(2012). 다문화교육의 심리학적 이해. pp265-271. 학지사.
장인실(2006). 미국 다문화 교육과 교육과정. 교육과정연구, 24(4), pp27-53.
Banks, J. A.(1993). An introduction to multicultural education. Boston: Allyn&Bacon.
반응형
'법교육 논문, 서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술지) 학생 참여 교칙 제, 개정 모형 제안 (0) | 2018.10.20 |
---|---|
(학술지) 학생 참여의 현황, 문제점 (0) | 2018.10.20 |
(학술지) 상벌점제에서 상점받기 사례연구 (0) | 2018.10.18 |
(학술지) 법태도와 준법의식 관계 (0) | 2018.10.18 |
교육벌과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0) | 2018.10.06 |
학생자치활동 - 전교어린이회 (0) | 2018.10.06 |
학교규칙 제, 개정 절차 (0) | 2018.10.06 |
학교규칙과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0) | 2018.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