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교육연극은 준비과정 및 결과 분석과 이해를 통한 교육적 효과를 연극 감상 자체를 통한 경험보다 더 중요하게 여기고 연극 자체의 형태가 피교육자들의 참여, 토론, 개입 등을 적극적으로 보장하는 차별화된 형태를 지니고 있어야 함. 1990년대 초 허트(Alice Minnie Herts)가 가난한 이민자 자녀들에게 영어, 책읽기를 가르치기 위해 셰익스피어의 '폭퐁우'를 어린이와 함께 공연한 것이 교육연극의 시작. 체험을중시한 존듀이의 영향으로 교육연극은 체험교육 수단으로서 가치를 인정받게 되었다.
교육연극의 종류
크리에이티브 드라마(CD), 드라마 인 에듀케이션(DIE), 시어터인 에듀케이션(TIE) 등 세가지로 나눔.
- 크리에이티브 드라마 : 즉흥적 비공개, 과정에 중심을 주는 연극. 창의성 발달
- 드라마 인 에듀케이션 :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이 스스로 과제나 주제를 선택하고 이에 대한 토론과 교사의 조력을 통해 연극을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주제에 대한 더 깊은 이해와 통찰을 함
- 시어터 인 에듀케이션 : 가장 조직화된 형태. 전문극단이 공연하고 관객은 관람, 참여.
교육연극의 효과와 단계
- 현장성 : 연극이 다루는 스토리는 꽁트나 소설 등과 다르지 않음. 특정한 상황과 맥락을 경험하도록 할 수 있음.
- 상호성 : 피교육자를 상황에 직접 개입시켜 상황의 일부로서 체험토록하는 상호작용.
- 현실의 재구성을 통한 인식 : 현실의 부담을 허물고 기존의 지식을 전환하고 재구성하도록 함.
교육연극과 법교육을 접목해 사회적 이슈들을 법교육에 끌어들이는데 도움을 줌.
교육연극의 법교육에 대한 적용 단계
- 크리에이티브 드라마 : 현실을 해체하고 가상적 상황을 상정해 피교육자의 경계심을 누그러뜨리는 '아이스 브레이킹' 일종, 법 이미지를 표현해보기, 글 써보기 상상력 자극하기.
- DIE 방법 : 관객- 참가자 각자 극중에 개입. 도로시 히쓰코트의 전문가의 외투. 전문가의 역할을 맡겨서 극을 만들어가야 함.
- TIE 방법 : 전문배우 혹은 교사-배우 전체. 예를들어 사형제도 쟁저에 다양한 사람들이 배우가 대표 토론하고 학생-관객들이 이들의 대화를 듣거나 각자에 질문을 던져 토론을 하는 방식.
교육연극의 사례 (캐나다의 저스티스 시어터, TIE 기법 활용)
전문배우들의 법교육 관련 공연 (사소해보이는 규칙 위반)
도입- 증거제시-배심원 협의- 학생토론 단계로 나누며, 배우 연기는 도입, 증거제시까지 이며, 이후는 학생들이 참여하는 단계이다.
곽한영(2020). 법교육 교수학습방법론 강의. 박영스토리.
반응형
'법교육 논문, 서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교육 교수학습방법론 - 온라인 매체 활용수업, 블렌디드 러닝과 플립드 러닝(곽한영, 2020:221-269) (0) | 2025.03.13 |
---|---|
법교육 교수학습방법론 - 딜레마 토론수업(곽한영, 2020:187-218) (1) | 2025.03.12 |
법교육 교수학습방법론 - 갈등해결교육으로서 또래조정(곽한영, 2020:153-184) (0) | 2025.03.12 |
법교육 교수학습방법론 - 청소년 법정의 형태 및 재판 과정, 청소년 법정의 효과와 주의사항(곽한영, 2020:128-135) (0) | 2025.03.12 |
법교육 교수학습방법론 - 모의재판과 실제(곽한영, 2020:53-84) (0) | 2025.03.11 |
우리나라 법교육과정 변천, 1차 교육과정 성립전 법교육 양상(곽한영, 2020:38-50) (0) | 2025.03.11 |
일본과 독일의 법교육(곽한영, 2020:33-37) (0) | 2025.03.11 |
우회교육으로서의 법교육 프로그램(곽한영, 2020:16-20) (0) | 2025.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