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교육의 내용요소를 구성하는 법원칙과 제도들은 이미 그 내용과 해석, 기능이 확정된 상태로 가정되고 교육이 이루어짐. 그래서 법교육의 목표가 '지식의 전달'이 아닌 사고의 확장, 패러다임의 전환으로 이루어져야 함. 법적 사고력의 확장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은 '딜레마 수업'임.
콜버그의 도덕발달단계, 하인즈의 딜레마 6단계 : 딜레마는 문제 또는 쟁점에 대한 명백하거나 정확한 답변 또는 해결책이 없을 때라고 정의함.
쿠반은 딜레마와 문제를 구분함. 문제가 바람직한 목적에 요인이 있을때 일어나며 그 요인을 제거할 방법이 있는 경우를 의미. 딜레마는 경쟁적인 가치들 사이에서 선택하는 과정.
딜레마는 구성주의 학습론에서 아동의 선개념, 인지 갈등을 통한 개념의 변화, 학습자 자신의 의미구성, 동료 및 교사와의 토론을 통한 사회적 협의과정을 중시하는 학습모형이 될 수 있음.
*사회적 쟁점 교육 : 딜레마 수업은 개인의 내적 갈등, 선택과정이지만 사회적 이슈, 쟁점이라는 차이가 있음.
딜레마 수업의 효과
- 고급사고력 높임 (심층학습의 효과, 사고의 정교화 수준 높음, 통합적 지식의 추구, 구성주의 학습원칙에 입각해 지식을 내재화 하는데 효과 높음)
- 의사소통 능력 향상(상반된 입장으로 모둠 구성해 협력학습 이루어짐- 활발한 의사소통, 타인의 관점을 이해하는 개방적 관점, 정서적 안도감과 호의적 태도)
딜레마 수업의 조건 : 학습자 중심, 과정중심, 깊이 중심, 증거위주의 토론
극복되어야 문제 : 어떠한 형식으로 토론을 구조화할 것인지 문제. 학생들의 상호작용 촉진 확장의 문제. 근거의 제시와 확인이 어떻게 가능한 것인지. 평가의 공정성과 타당성 문제.
본 책에서는 딜레마 수업 + 모의재판, 배심제 결합함으로써 수업의 실제를 제시하였음.
Cuban, L.(1992). Managing Dilemmas while building professional communities, Educational searcher, 21. 4-11.
Kohlberg, L.(1981). Essays in Moral Development. Volume 1:The Philosophy of Moral Development. San Francisco:Harper & Row.
김경순(2000). 쟁점중심 통합 사회과 수업모형탐색.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육대학교대학원.
곽한영(2020). 법교육 교수학습방법론 강의. 박영스토리.
윤혜경(2005). 딜레마 일화를 활용한 과학 교사 교육.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2). 98-110.
'법교육 논문, 서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회지 - 학급자치활동이 초등학생의 법의식에 미치는 영향(한희택, 2009, pp.43-72) (0) | 2025.03.17 |
---|---|
학회지 - 쓰기 전략을 통한 법적 사고력 신장(황선영, 2010, pp.81-110) (0) | 2025.03.14 |
미국 법교육 교수학습법 사례 - 전화번호부 찾기, 청문회 수업, 외계인 침략, 동화 속 법 이야기 (곽한영, 2020:341-353) (0) | 2025.03.13 |
법교육 교수학습방법론 - 온라인 매체 활용수업, 블렌디드 러닝과 플립드 러닝(곽한영, 2020:221-269) (0) | 2025.03.13 |
법교육 교수학습방법론 - 갈등해결교육으로서 또래조정(곽한영, 2020:153-184) (0) | 2025.03.12 |
법교육 교수학습방법론 - 청소년 법정의 형태 및 재판 과정, 청소년 법정의 효과와 주의사항(곽한영, 2020:128-135) (0) | 2025.03.12 |
법교육 교수학습방법론 - 교육연극과 실제(곽한영, 2020:87-120) (0) | 2025.03.11 |
법교육 교수학습방법론 - 모의재판과 실제(곽한영, 2020:53-84) (0) | 2025.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