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우리나라 법교육과정 변천사
- 교수요목기 (1946-1954)~ 2차 교육과정기(1964-1974) : 헌법 내용 중심
- 3차 교육과정(1975-1981) : 헌법 + 법기초이론, 사법 영역 기타 생활 주변 여 법 포함.
- 4차 교육과정(1982-1987) : 헌법과 다른 법교육 영역 분리
- 7차 교육과정 : 6학년 인권교육, 헌법교육 설정, 중학교 2학년 법관련 기초이론 포함. 법과 사회 과목 신설.
- 2009 교육과정 : 법과 사회와 정치과목 통합
- 2015 교육과정 : 정치와 법으로 이름 변경.
1차 교육과정 성립전 법교육 양상
- 1894년 조선정부 학무아문 과제 선포, 7월 고시
- 1985년 1월 7일 고종, 홍범 14개조 포함 독립서고문 반포
- 1985년 2월 2일 교육칙어 학교교육 도입, 법관 양소성 규정
- 1990년 중학교 규칙 중학교 심상과, 3년 고등과로 나눔. 고등과의 과목 '법률'
- 1883년 민간교육기관, 원산학사의 교육과정 - 교과목 만국공법(국제법), 법률
- 1896년 일본의 영향과 간섭 높아 '신정심상소학' 교과서 왜곡시킴. 법 및 통치구조와 관련된 내용 삭제.
- 1970년대 현채의 유년필독(정부의 조직, 통치 단위의 조직 등 독립적 단원으로 이루어짐) 교과서 발매 반포금치 조치
- 1909년 7월 5일 고등학교 교육과정 교수 시수표에 '법제'가 포함. 법률일반이해보다도 새로이 만든 제도 숙지 목적. 현체제의 정당성 확립.
- 1910년 다른 교과목의 교과서 검정율은 적지만 법제교과는 모두 통과됨.
- 1911~1922년 1차 조선 교육령 시기 : 법제 경제로 이어짐.
- 1932년 일제 실업교육 강화하고 법제경제 폐지. 공민과목 설치. 일본의 충량한 공민으로서 정신과 태도를 강조. 신민화 교육
- 4차 조선 교육령, 공민과 폐지.
- 1948년 개정증보판, 제헌 헌법에 대한 소개와 개념 설명. '법제 생활''정치문제'이라고 사용함.
- 1954년 이름이 정치와 사회로 변화.
곽한영(2020). 법교육 교수학습방법론 강의. 박영스토리.
반응형
'법교육 논문, 서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교육 교수학습방법론 - 갈등해결교육으로서 또래조정(곽한영, 2020:153-184) (0) | 2025.03.12 |
---|---|
법교육 교수학습방법론 - 청소년 법정의 형태 및 재판 과정, 청소년 법정의 효과와 주의사항(곽한영, 2020:128-135) (0) | 2025.03.12 |
법교육 교수학습방법론 - 교육연극과 실제(곽한영, 2020:87-120) (0) | 2025.03.11 |
법교육 교수학습방법론 - 모의재판과 실제(곽한영, 2020:53-84) (0) | 2025.03.11 |
일본과 독일의 법교육(곽한영, 2020:33-37) (0) | 2025.03.11 |
우회교육으로서의 법교육 프로그램(곽한영, 2020:16-20) (0) | 2025.03.07 |
법교육의 시작, 헌법교육 (곽한영, 2020:10-12) (0) | 2025.03.07 |
법교육의 의미(곽한영, 2020:8-10) (0) | 2025.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