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측정이란 ? 일정한 법칙에 따라서 사물이나 사건에 숫자를 배정하는 것.
* 측정의 유형
- 본질측정 : 사물의 특징을 표현하는 본질적인 법칙에 따라 수치를 부여(무게, 부피)
- 유도측정 : 다른 특징과 관련시키는 규정이나 법칙에 의해 측정의 의미가 나타나도록 하는 것.
(사회과학에서는 거의 없다, 예) 밀도)
- 임의 측정 : 어떤 사물의 특성과 그 측정값 간에 관계가 있다고 가정하고 측정, 조작적 정의에 의한 척도로 측정될 수 있다고 측정함(예 : IQ검사)
그러나 측정도구의 오류나 피검사자의 오차가 있을 수 있음
* 척도란 ? 측정하고자 하는 사물의 특성을 숫자로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점수체제.
- 명명 척도 : 단지 개별단위를 구분하는 분류체제, 단지 범주의 표식 (남자=1, 여자=2)
- 서열 척도 : 측정대상을 상호비교하기 위해 순위, 서열을 부여하는 척도(반, 번호)
- 등간 척도 : 동간척도. 일정한 측정단위를 가지고 있고 각 측정단위 사이의 간격이 동일한 척도, 절대 영점이 없으며 측정치들 사이의 비율이 같지 않음. (온도)
- 비율척도 : 명명, 서열, 등간척도의 조건을 충족함. 절대영점을 갖고 있음. 숫자 사이에 비율성이 있는 척도임(길이, 무게, 시간 등)
* likert 리커트 방법 : 태도의 연속선상에서 어느 위치에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측정하려는 정의적 특징을 여러 단계로 분류하여 척도를 구성. 주로 5점 척도 사용. 개념상 서열척도이나 사실상 등간 척도로 간주하여 양적인 분석을 실시함.(매우 그렇지 않다/그렇지 않다/보통/그렇다/매우그렇다)
* osgood 방법 : 사물, 인간, 사건 등에 대한 개념이나 느낌을 양극의 뜻을 갖는 대비되는 형용사군으로 만듦. 주로 7점척도 사용, 등간척도로 간주. 의미분석에서 사용됨.
나쁘다_ _ _ _ _ _ _ 좋다. / 더럽다_ _ _ _ _ _ _ 깨끗하다.
* staple 척도 -5 -4 -3 -2 -1 깨끗함 +1 +2 +3 +4 +5 (osgood에서 변용함)
* 척도구성시 고려사항 : 몇 단계 척도로 할 것인지(어린 집단일수록 단계 수가 적은 것이 좋음), 중립적인 의미의 범주를 사용할 것인가(예)보통이다-불성실한 설문응답의 가능성, 반대로 없다면 가치를 강요할 수도 있음), 잘모르겠음과 의견없음을 포함시킬 것인가
* 검사란 ? 측정의 대상은 직접측정, 간접측정 대상으로 구분함. 직접 측정이 불가능한 속성을 측정하기 위해 검사를 실시하게 됨.
* 검사 도구의 제작 : 기존검사를 활용, 기존 검사도구 개선
건국대학교 임걸교수 교육연구방법론 강의 http://activemingming.tistory.com/49
'교육연구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구방법론 - 질적연구 수행방법 (0) | 2018.09.21 |
---|---|
연구방법론 - 질적연구의 의미 (0) | 2018.09.21 |
연구방법론 - 신뢰도 (0) | 2018.09.21 |
연구방법론 - 타당도 (0) | 2018.09.19 |
연구방법론 - 표집방법 (0) | 2018.09.19 |
연구방법론 - 문헌연구 (0) | 2018.09.18 |
연구방법론 - 연구주제, 연구제목, 가설, 연구대상 (0) | 2018.09.18 |
연구방법론 - 질적연구, 양적연구 비교 (0) | 2018.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