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연구방법

연구방법론 - 표집방법

밍티쳐 2018. 9. 19. 15:46
반응형

1) 확률표집

 - 단순무선표집(기본 표집, 난수표 활용, 무작위) www.randomizer.org

 

 - 체계적표집(계통표집) : 일정한 간격으로 추출, 무선적으로 배치되어있지 않을 때 특정집단이 상대적으로 많이 추출될 수 있음.

 - 층화 표집: 이론적, 경험적 지식에 의하여 계층을 구분할 수 있음. ( 한 집단에서 여성, 남성 / 초중고 형태에 따라 계층을 구분하는 것)

    *비율층화표집(동일한 표집비율), 비비율층화표집(비율 적용하지 않고 일정크기의 표본을 추출)

   층화에 대한 정보가 확실하고 표집이 정확하면 표본의 추정치가 정확하나 계층이 분류하는 정보가 확실하지 않으면 표본의 속성이 모집단의 속성을 대표하지 못함.

 - 군집표집 : 개인이나 요소가 아닌 집단을 표집단위로 표집. 이미 형성되어 있는 자연적, 행정적 집단을 추출하는 것(예, 학생수가 아닌 학급수로 추출단위로 보는 것), 시간과 경비를 절약할 수 있으나 표집 오차가 클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층화군집표집 : 계층을 구분하고 난 뒤 집단으로 하여 표집(초/중/고로 나누고 학교를 표집단위로 하는 것)

2) 비확률표집

 - 편의 표집(손쉽게 구할 수 있는 대상이지만 표집집단이 모집단을 대표하기 어려움)

 - 목적 표집(연구목적을 위하여 연구자가 의도적으로 표집하는 방법, 연구의 일반화 한계가 있음)

3) 표집의 수 :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얻기 위한 최소 표집단위,

 

출처 : 건국대학교 임걸교수 교육연구방법론 강의 http://activemingming.tistory.com/4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