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두자리 수 난수표 이용하여 1~200개 단순무선표집으로 추출하기
해결 방법: 1~200을 균등하게 뽑는 방법
🔹 방법 1: 두 자리 난수를 두 번 뽑아 1~200으로 변환
- 난수표에서 두 자리 숫자(00~99)를 하나 뽑습니다.
- 이 숫자가 1~100이면 그대로 사용, 0이면 100번으로 사용
- 이미 뽑은 숫자에 100을 더한 값도 표본에 포함
- 이 과정을 중복되지 않게 반복하여 10명을 뽑음
✅ 예시
난수표에서: 07, 45, 88, 23, 56, 91, 12, 99, 04, 67 을 뽑았다면
- 1차 그룹: 7, 45, 88, 23, 56, 91, 12, 99, 4, 67
- 2차 그룹: 107, 145, 188, 123, 156, 191, 112, 199, 104, 167
- 1차 그룹과 2차 그룹을 섞어서 최종 10명 선정
🔹 장점:
✔️ 1~100과 101~200이 동일한 확률로 뽑힘
✔️ 난수표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음
🔹 단점:
❌ 중복될 가능성이 있어 추가로 난수를 뽑아야 할 수도 있음
🔹 방법 2: 홀짝 나누기 방식 (간단한 방법)
- 난수표에서 두 자리 난수를 무작위로 10개 뽑음
- 홀수 → 그대로 사용 (1~99)
- 짝수 → 100을 더해 사용 (100~200)
- 중복 발생 시 다시 뽑음
✅ 예시
난수표에서: 07, 42, 88, 23, 56, 91, 12, 99, 04, 67 을 뽑았다면
- 홀수(그대로): 7, 23, 91, 99, 67
- 짝수(100 더함): 142, 188, 156, 112, 104
- 최종 표본: 7, 23, 91, 99, 67, 142, 188, 156, 112, 104
🔹 장점:
✔️ 1~200이 비교적 균형 있게 뽑힘
✔️ 계산이 간단함
🔹 단점:
❌ 짝수와 홀수의 개수가 불균형할 가능성이 있음
📌 결론
✅ 두 자리 난수표만 사용할 때 1~200을 균형 있게 뽑는 가장 쉬운 방법은?
- 1~100을 뽑고, 그 숫자에 100을 더해 또 다른 표본을 만드는 방법
- 홀수는 그대로, 짝수는 100을 더하는 방법
이 두 가지 방법 중 편한 걸 선택하면 돼요! 😃
반응형
'교육연구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연구와 통계방법(5) -정규분포, 표집분포 (0) | 2025.04.07 |
---|---|
교육연구와 통계방법(4) -분산도 (0) | 2025.04.06 |
교육연구와 통계방법(3) - 중심경향값 (0) | 2025.04.06 |
교육연구와 통계방법(2)- 그래프 (0) | 2025.04.03 |
교육연구와 통계방법(1) - 모수치, 추정치, 매개변수, 조절변수, 혼재변수 (0) | 2025.04.01 |
로지스틱 회귀분석(이훈영, 2015, pp. 694-757) (0) | 2025.04.01 |
다중회귀분석, 더미변수 이용한 회귀분석, 비선형회귀분석(이훈영, 2015, pp. 427-444) (0) | 2025.03.28 |
회귀분석, 단순회귀분석, 최소자승법, 분산분석표(이훈영, 2015, pp. 400-427) (0) | 2025.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