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연구방법

로지스틱 회귀분석(이훈영, 2015, pp. 694-757)

밍티쳐 2025. 4. 1. 13:37
반응형

이훈영(2015). 이훈영교수의 연구조사방법론 2, 청람출판사, pp, 694-757

 

로지스틱 회귀분석 : 분석하고자 하는 대상들이 집단 혹은 이상의 집단으로 나누어진 경우에는 개별 관측지들이 어느 집단으로 분류될 있는가를 분석하고 이를 예측하는 모형을 개발하는데 사용되는 대표적인 통계기법. 종속변수가 명목척도로 측정된 범주형 질적변수인 경우에 사용함.

 

  1. 이항로지스틱 회귀분석 : 비선형함수모형, 개별 관측지가 2 집단 중에 어느 집단에 속하는게 나타내는 이항 범주형 종속변수 예측. 종속변수 값으로 범주값을 직접 사용하지 않고 종속변수가 특정한 범주값, 예를 들어 1 값을 가질 확률을 종속변수값으로 사용. 확률값의 오즈를 종속변수로 하는 2차적인 치환. p/1-p. 자연로그로 변환.

 

 

 

  1. 로지스틱 회귀모형 적합도 검정 : 우도비검정, 유사결정계수로 적합도 확인(0.2보다 ), 적중률
  2.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 : 선택범주가 3 이상인 경우에 응답자가 어떠한 선택범주에 속하거나 선택할 것인가를 예측하기 위한 모형.

4. 컨디셔널 로지스틱 회귀분석 : 선택범주(대안) 특성만을 이용하거나 선택범주(대안) 특성과 응답자의 특성을 동시에 고려하여 응답자가 속하거나 선택하는 범주(대안) 예측하는 모형을 개발하는데 사용되는 분석방법

 

 

 

 

 

 

 

 

 

 

 

 

 

 

  1. 컨디셔널 로지스틱 회귀분석 : 선택범주(대안) 특성만을 이용하거나 선택범주(대안) 특성과 응답자의 특성을 동시에 고려하여 응답자가 속하거나 선택하는 범주(대안) 예측하는 모형을 개발하는데 사용되는 분석방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