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연구방법

교육연구와 통계방법(2)- 그래프

밍티쳐 2025. 4. 3. 12:43
반응형
  1. 막대그래프

질적 변수에 가장 적합

▪ ‘무응답이나기타항목에 대한 처리는 신중을 기해야

분류항목의 개수에 따라 세로 막대그래프와 가로 막대 그래프 선택 가능

분류항목의 제시순서는 연구자가 임의로 결정 가능

분류항목 내에서 동일 내용을 다시 하위집단 별로 비교하고자 할 때에도 사용 가능

-막대의 넓이를 같게, 막대와 막대사이의 공간 같게 그려야 .

막대그래프 데이터

막대그래프.xls
0.00MB

SPSS 21 실제

 

  1. 선그래프

양적 변수에 대해 사용, 비연속변수(특정수치만 가짐)

시간의 흐름에 따른 추이를 나타낼 때 유용

▪ X축과 Y축 모두 양적 변수이므로, X축과 Y축의 최소값, 최대값의 크기 선정과 눈금간 간격 유지에 유의해야

유사한 내용의 그래프를 반복해서 제시하는 경우, X축과 Y축의 간격이 유사하게 유지되어야

-현대 통계학에서는 선그래프사용 가능한 삼가. 점수의 범위가 그래프의 기능을 상실.

 

  1. 히스토그램

양적 변수에 대해 사용, 연속변수, 선그래프 취약점 극복.

본격적인 통계분석에 앞서서 여러 문제점을 파악하는 데 효과적으로 사용 가능

분포의 모양이 정규분포 혹은 좌우대칭인지

이상치(Outlier)가 있는지(극단치)

논리적으로 있을 수 없는 수치가 포함되어 있지는 않은지

-연속성을 위한 교정. 양적 비연수변수를 양적변수로 분류함.

-범위:최고값의 상한계 - 최저값의 하한계 / 모집단보다 표본의 범위가 넓지 않으므로 급간의 출발값을 최저점수의 하한계보다 측정의 단위 낮은 값에서 시작.

히스토그램 및 백분위데이터

히스토그램 데이터.xls
0.00MB

SPSS 21 실제

 

 

  1. 절선도표(도수분포다각형도표)

 양적 연속변수일때 사용. 히스토그램의 단점 보완. 집단 이상 비교할

 급간의 크기를 척도의 단위에 따라 달리해야 . 홀수끼리, 짝수끼리 맞춰야함.

가로축 : 중간값의 정수로 표시되어 있음.

  1. 누가백분율도표

 누가백분율도표는 세로축이 %, 백분율을 나타내며 누가도수표는 백분율 대신에 도수를 나타내는 것이 다른점.

누가백분율곡선, 오자이브 곡선. 누가도수표, 누가도수곡선.

  1. 백분위수, 십분위수, 사분위수, 백분위 점수

백분위수 : 얻어진 자료를 크기의 순서로 늘어놓아 100등분하는 .  50등분, P50

사분위수 : 4등분한 . 1사분위수는 25백분위수해당. Q1 P25 하나로 나타냄.

 

통계량        : 46, 57 백분위 추가함.        

기말점수

N        유효        200

결측        0

평균                61.9650

중위수                62.0000

최빈값                58.00

표준편차                13.90939

분산                193.471

범위                67.00

백분위수        10        44.1000

20        47.2000

25        49.5000

30        54.3000

40        58.0000

46        58.4600

50        62.0000

57        65.5700

60        67.0000

70        69.7000

75        72.7500

80        74.0000

90        81.9000

 

  1. 박스플롯(Box Plot)

백분위 또는 백분위수(percentile)?

얻어진 자료를 크기의 순서로 늘어놓아 100등분하는 값.

규준지향검사(norm-referenced test), 즉 상대비교평가를 추구할 때 흔히 쓰이는 변환점수의 일종.

유사개념: 십분위수(decile), 사분위수(quartile).

 

  1. 산포도

두 양적 변수간 관계 양상을 나타내기 위해 주로 사용

독립변수는 가로축인 X축에, 종속변수는 세로축인 Y축에 제시

▪ X축과 Y축의 내용이 무엇인지를 간결하고 명확한 단어로 표현하고, 각 축의 측정 단위를 기입.

기울기가 가파르면 더욱 상관이 높다고 .

 

서울대학교 교육통계 강의 자료. 사범대학교 교육학과 박현정교수

성태제(2019). 현대기초통계학 이해와 적용 8. 학지사. pp, 49-8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