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01

플라톤의 교육론 4(철학자) / R. L. 네틀쉽 지음

철학이라는 말이 전인이 되고 철학자에게 모든 재능과 탁월성이 다 부여되고, 철학자가 세상을 다스려야 할 자격이 있다고까지 하게되었는가. 앞에서 언급한 것 처럼 영혼의 세 특질로 인간을 세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욕구가 지배하는 사람은 삶의 주된 목적은 '부'에 있으며 기개 계급의 사람들은 경쟁에서 이김으로써 얻는 명예가 그 목적이며, '철학적' 부분이 강한 사람들에게 진리가 그 목적이다. 각 이익과 부를 사랑하는 사람, 경쟁 또는 명예를 사랑하는 사람, 배움과 지혜를 사랑하는 철학자로 분류될 수 있다. 이 중 의미있는 경험과 최상의 삶을 향유하는 사람은 철학자이다. 진리의 본성을 알고 실재의 본성을 아는 것에 대한 사랑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 철학적 요소는 참다운 인간성, 진정한 인격이며 신성한 인간..

교육 이론 2021.05.29

플라톤의 교육론3 (철학, 이성)/ R. L. 네틀쉽 지음

인간의 영혼을 구성하는 세번째는 철학, 이성이다. 그러나 플라톤은 철학에 대한 설명은 국가론의 책에서 차이를 보인다. 국가론의 전반부는 '기개' 부분의 심리적 보조물로 등장한다. 기개 부분의 안정과 균형을 위한 유연성을 지니며 적대적인 감정을 완화시켜 서로를 화합하게 하는 것이 바로 철학이라고 하였다. 이는 사회의 고차적 기능을 적절히 수행하게 하고 불균형을 상쇄하는 요소이다. 철학적이라는 것은 아는 것이며, 지식을 사랑하는 것, 지혜와 같은 것이다. 또한 상냥한, 길들여진 부분으로 지식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교양의 결과로 얻어지고 얻어지는 지식은 무엇인가 이해하고 있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넓은 의미로 언어, 음악, 그림, 아름다움에 의해 움직여지는 감수성부터 순수한 도덕적 측면을 포함하여 질서, ..

교육 이론 2021.05.29

플라톤의 교육론 2(욕구, 기개) / R. L. 네틀쉽 지음

현대에서 교육을 왜 해야하지? 생각하면 다양하게 그 대답을 한다. 교양, 훈련, 유용한 성취 등이라고 다양하게 대답할 수 있고 이 대답에 따라 교육 일반 관점이 다르기에 교육방법의 풍조, 실천이 다를 수 밖에 없다. 한편, 플라톤의 교육에 대한 생각은 '양육(nurture)'으로 포괄적으로 말할 수 있다. 플라톤은 인간의 삶의 주위 여건과 환경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타고난 '본성'보다는 양육으로 말한 것은 바로 영혼의 흡수력 때문이다. 그러므로 플라톤은 범죄자들을 주위의 덕을 입어 가장 훌륭하게 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세상의 부패나 세상의 버림을 받아 실패한 자이며, 길들여지지 못한 사람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렇기에 사회의 막강한 영향력을 대항할 수 있는 가르침은 불가능하다고 ..

교육 이론 2021.05.29

플라톤의 교육론 1(서문, 서론) / R. L. 네틀쉽 지음, 김안중 옮김 / 서광사

😊 The Thoery of Education in Plato's 'Republic', Oxford University Press, 1935을 완역한 것. 플라톤의 '국가론'에 나타난 교육이론에 대한 네틀쉽의 해석. 😊 구체적인 부분은 Lectures on the Republic of Plato/ Lord Charnwood, Macmillan and Co., Limited. 책을 참고 이 책이 가치가 있는 이유가 서문에 잘 나와있다. 교육을 하는 사람들에게 현재 교수법, 교육 내용에 대한 지식을 많이 유행하고 있다. 하지만 교육의 최상 목적, 지식체계상의 종점이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에 우리는 궁리하여 답을 얻어야 한다. 플라톤은 '선을 향한 인간 영혼의 성장을 가져오는 데' 그 목적이 있다고 하는데 그것..

교육 이론 2021.05.28

학술지 - 한국사상의 뿌리를 통해 되돌아보는 시민교육 - 법에 관한 생각을 중심으로

박성혁(2014). 한국사상의 뿌리를 통해 되돌아보는 시민교육-'법'에 관한 생각을 중심으로-, 남명학보, 13, pp. 99-120. 서구사회는 법의 구체적 사례를 적용함에 따라 생겨나는 개념의 분화, 해석 논리, 원리와 이론 등이 발전되었지만 우리나라는 하늘의 이치를 기준으로 이상적 질서에 대한 철학적 사유만이 발달하였다. 그래서 법은 예를 보조하는 수단으로 개인의 권리보호 등에 관련된 근대적 법인식에 취약했다고 볼 수 있다. 개화기, 광무개혁기에 개인의 권리에 대해 공부한 시기도 있었지만 대부분은 헌법을 중심으로 한 국가체제의 교육으로 이어졌다. 일제강점기에는 군국주의 신민교육을 강화하기 위해, 해방 이후에는 민주주의 신생독립군의 시민교육을 위한 법으로 이어졌다.

학술지- 양성평등관점에서 입각한 법사회화 이론의 비판적 검토

송성민(2011). 양성평등관점에서 입각한 법사회화 이론의 비판적 검토, 법교육연구, 6(1), pp. 55-76. 법사회화(legal socialization)는 규칙, 법 등을 포함한 사회적 권위나 이에 대한 태도, 행동이 학습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기존의 법사회화 기초 인지발달론은 대체적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법사회화 과정에서 우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Greenstein(1961)는 초등학교 시기의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정치와 관련된 인지적 지식과 정치적 관심도 뛰어나다고 하였으며 Rapport(1981)은 고등학생, 성인 모두에게 남성이 정치적 지식을 더 많이 지니고 더욱 강한 정치적 태도를 보인다고 하였다.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에 따라서도 3수준 6단계 중 남자는 4단계, 여자는 3단계의 보편..

학술지 - 법의식 연구의 경향에 관한 연구-법의식 개념을 중심으로

곽한영(2011). 법의식 연구의 경향에 관한 연구 - 법의식 개념을 중심으로 , 법교육연구, 6(2), pp.1-22. 법의식이라는 개념은 사회공동체 구성원이 법에 대해 가지는 심리적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법의식을 법문화로 보거나 준법정신, 법태도 등 3가지 입장으로 나눌 수 있다. 구체적인 입장에 대해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법문화로서의 법의식이다. 우리나라는 전통적 법문화와 서구식 법문화의 괴리가 있는 '혼합된 상태'를 지니고 있다. 그리고 법보다는 윤리를 중시하는 유교적 전통에 영향을 받고 있다. 둘째, 준법정신으로서의 법의식이다. 우리나라 법의식 조사 결과를 보면 사법 불신이 있으며 준법의식이 낮은 수준이 머물러 있지만 대체로 법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확산되고 권리의식이 높아졌다고 ..

다문화교육과 세계시민교육의 비교

다문화교육(multicultural education)은 한 국가 내 다양한 집단간의 불평등을 해소하고 모든 학습자의 교육 기회균등을 목표로 하는 개혁운동이다. 또한 한 국가의 다문화, 다인종의 경향에 따라 나타나는 사회적 문제 해결과 공존원리 모색에 초점을 맞춘다. 그러나 세계시민교육(global citizenship education)는 국가 밖 행위주체의 문화, 제도, 그들과의 상호연관성을 탐구하며 국가간 세력 불균형, 불평등에 대한 인식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교육을 설계한다. 또, 지구촌이라는 세계 공동체를 기본적인 범주로 설정하고 세계의 문제의 해결과 상호이해를 지향한다. 한편, 다문화 교육과 세계시민교육 모두 문화 다양성, 인권, 편견 감소를 추구한다. 그러나 다문화교육은 국가적 맥락 내 이슈..

세계시민교육의 7가지 개념적 입장

Merryfield(1998)는세계시민교육에 대한 개념적 입장을 7가지로 범주화 하였다. 1. 인류와 세계를 역동적, 유기적, 상호의존적 세계로 이해하기 : 운명공동체, 지구촌이라는 인식 2. 전 지구적 쟁점 이해하기 : 국제인권, 평화와 안보, 개발, 환경 관련 쟁점 이해하기 3. 다양한 문화와 관점 이해하기 : 문화적 다원주의 4. 지역적, 전 지구적 차원에서 의사결정 내리고 행동하는데 필요한 지식, 기능, 책임감 갖기 : 지역사회 참여 및 의사결정, 세대간 책임, 긍정적인 상호의존과 협력. 5. 역사적인 차원에서 인류의 상호의존성 이해하기 6. 간문화적 이해, 상호작용, 의사소통 : 간문화적 인식 체험학습, 능력 7. 비판적인 맥락에서 편견 해소와 도덕 교육의 중요성 인식하기 : 자민족중심주의 해소..

세계시민교육의 다양한 접근법

마이어스(Myers, 2006)는 세계시민교육을 3가지 접근법으로 범주화하였다. 1. 국제경쟁력 강화 접근(international business training) : 세계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는 기업경영가와 노동자의 배출을 목표로 인적자본론(human capital)의입장을 취한다. 2. 국제학 중심 접근(international studies) : 지리학, 정지학 등 학문을 통해 세계의 지역과 국가들의 지식을 전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세계를 서로 경쟁하는 독립국가로 파악하고 있으며 현재 대부분의 세계화 중등교육은 이 모형을 따른다. 3. 세계체제 접근(world system approach) : 세계는 상호의존적이라는 전제하에 다양성 인정과 상호이해를 추구함. 문제해결을 위한 국가간 협력을 강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