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시민교육 학습자료 13

다문화교육과 세계시민교육의 비교

다문화교육(multicultural education)은 한 국가 내 다양한 집단간의 불평등을 해소하고 모든 학습자의 교육 기회균등을 목표로 하는 개혁운동이다. 또한 한 국가의 다문화, 다인종의 경향에 따라 나타나는 사회적 문제 해결과 공존원리 모색에 초점을 맞춘다. 그러나 세계시민교육(global citizenship education)는 국가 밖 행위주체의 문화, 제도, 그들과의 상호연관성을 탐구하며 국가간 세력 불균형, 불평등에 대한 인식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교육을 설계한다. 또, 지구촌이라는 세계 공동체를 기본적인 범주로 설정하고 세계의 문제의 해결과 상호이해를 지향한다. 한편, 다문화 교육과 세계시민교육 모두 문화 다양성, 인권, 편견 감소를 추구한다. 그러나 다문화교육은 국가적 맥락 내 이슈..

세계시민교육의 7가지 개념적 입장

Merryfield(1998)는세계시민교육에 대한 개념적 입장을 7가지로 범주화 하였다. 1. 인류와 세계를 역동적, 유기적, 상호의존적 세계로 이해하기 : 운명공동체, 지구촌이라는 인식 2. 전 지구적 쟁점 이해하기 : 국제인권, 평화와 안보, 개발, 환경 관련 쟁점 이해하기 3. 다양한 문화와 관점 이해하기 : 문화적 다원주의 4. 지역적, 전 지구적 차원에서 의사결정 내리고 행동하는데 필요한 지식, 기능, 책임감 갖기 : 지역사회 참여 및 의사결정, 세대간 책임, 긍정적인 상호의존과 협력. 5. 역사적인 차원에서 인류의 상호의존성 이해하기 6. 간문화적 이해, 상호작용, 의사소통 : 간문화적 인식 체험학습, 능력 7. 비판적인 맥락에서 편견 해소와 도덕 교육의 중요성 인식하기 : 자민족중심주의 해소..

세계시민교육의 다양한 접근법

마이어스(Myers, 2006)는 세계시민교육을 3가지 접근법으로 범주화하였다. 1. 국제경쟁력 강화 접근(international business training) : 세계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는 기업경영가와 노동자의 배출을 목표로 인적자본론(human capital)의입장을 취한다. 2. 국제학 중심 접근(international studies) : 지리학, 정지학 등 학문을 통해 세계의 지역과 국가들의 지식을 전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세계를 서로 경쟁하는 독립국가로 파악하고 있으며 현재 대부분의 세계화 중등교육은 이 모형을 따른다. 3. 세계체제 접근(world system approach) : 세계는 상호의존적이라는 전제하에 다양성 인정과 상호이해를 추구함. 문제해결을 위한 국가간 협력을 강조..

세계시민교육의 교육목표

한베이(Hanvey, 1974)는 세계화시대의 교육목표로 지구적 관점(globla perspectives)의 5가지 요소를 구성하였다. 1, 다양한 관점에 대한 지각(perspective consciousness) : 다양성이 존재하는 것과 방식을 안다는 것. 2. 지구촌이라는 인식(state of the planet awareness) : 지구촌의 중요한 이슈, 사건, 현상황을 심층적으로 이해함. 3. 비교문화적 인식(cross-cultural awarenss) : 세계의 여러 문화들의 차이와 공통점을 알고 세계 문화의 특징을 개략적으로 인식함. 4. 전지구적 역동성에 대한 지식(knowledge of global dynamics) : 다양한 국가 행위체 및 비국가 행위체들이 상호 의존관계에 있음을 알..

다문화교육-동화주의, 다문화주의

1. 동화주의 : 문화적 다양성이 국민적 일체감을 저해한다는 생각으로 주류문화에 기초한 교양교육을 주장 교육의 목적은 소수문화가 지배문화에 동화, 포섭되는 것을 전제로 함. 용광로(melting pot) 이데올로기 2. 다문화주의 : 한 사회의 문화적 다양성은 자유, 정의, 평등의 실현을 위한 국가적 대처와 노력을 증가시켜 발전시킨다는 관점으로 학생들이 다양한 문화를 가지고 있는 상대적인 가치를 인정하며 자문화의 가치와 전통에 대해 비판적 성찰을 하도록 가르쳐야함. 샐러드 그릇(salad bowl) 이데올로기. 다양한 문화적 구성요소들이 상호 공존하며, 고유한 특성 유지하면서도 서로 조화되어 또 다른 통합성을 이루어내는 것을 의미. 역사적으로 동화주의 정책을 실시해온 국가들이 소수집단에 대한 차별로 많은..

다문화교육의 개념와 오개념

다문화교육 : 소수집단 학생들의 교육을 지원하고 다수 집단 학생들의 인식을 개선함으로써 모든 학생들의 학업 성취와 차별 해소를 추구하는 교육을 말한다. 모든 학생의 교육적 평등을 위한 개혁운동. 다문화교육의 세가지 오개념 : 1. 소수집단만을 위한 교육이다. - 다문화교육은 다원화된 현대사회를 살아가는데 필요한 지식, 기능, 태도를 소수가 아닌 모든 학생들이 갖출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교육이다. 2. 반서구적이다. - 다문화교육은 자유, 정의, 평등이라는 서구 민주주의 이상에 토대를 두고 있다. 이상과 현실을 가르쳐 현실에 대한 반성과 해결하기 위한 시민행동까지 교육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3. 국가를 분열시킨다. - 다문화교육은 사회의 통합을 추구하는 교육이다. 사회적 약자인 소수집단들에게 교육의 기회를..

교육과정 실행에 있어서 사회과교사의 역할

교육과정 실행에 있어서 사회과교사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사회과 교육과정은 국가수준에서 결정되지만 그 교육과정을 실제 학교에서 가르치는 것은 사회과교사다. 그래서 교사가 어떻게 교육과정을 이해하고 교수 학습과정에서 역할을 하는지가 중요하다. * 교육과정의 전달자 : 국가가 만든 사회과교육과정에 의거하여 교사는 교육과정에 제시된 목표와 내용체계를 의거항 교과서 내용을 충실하게 전달하도록 하는 것이다. 교사는 교육과정에 대해 비판하거나 재해석하지 못하고 자신의 교육관, 입장을 배제한다. 이는 교사의 역할이 수동적 전달자에 머무는 한계를 보여주며 기존의 사회 질서와 권위에 순응하도록 학생들에게 주입하는 결과가 될 수 있다. * 교육과정의 조정자 : 교사들이 나름대로 교육과정을 해석하고 재구성하여 가르친다. 자..

다문화 교육과정 구성원리(뱅크스, banks)

다음은 뱅크스(Banks, 2014)는 다문화적 내용을 통합하기 위한 구성원리를 제시하였다.1단계 : 기여적 접근법(The Contributions Approach), 소수집단의 영웅이나 명절, 축제같은 문화적 요소를 활용한다.2단계 : 부가적 접근법(The Additive Approach), 교육과정의 기본적인 구조나 목표, 특성을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소수집단과 관련된 내용, 개념, 주제, 관점을 교육과정에 부과하는 것.3단계 : 변혁적 접근법(The Transformation Approach), 교육과정의 근본적인 목표, 구조, 관점의 변화. 다양한 집단의 관점에서 개념, 이슈, 사건을 조명함.4단계 : 사회적 행동 접근법(The Social Action Approach), 3단계에 덧붙여 실천과 행..

우리나라의 다문화 교육의 시작, 하인즈 워드

1990년대 외국인 노동자의 유입, 2000년대부터 국제 결혼 가정의 급증으로 인해 우리나라에는 다문화 가정에 대해 관심을 보이게 된다. 특히 2006년 한국계 미국인 하인즈 워드(Hines Ward, 미식축구 슈퍼볼 MVP)가 우리나라를 방문하게 되면서 우리나라의 다문화가정에 대한 차별, 배타성에 대해 생각하는 계기가 된다. (2006년에는 다문화가정이라는 개념도 없었으며 혼혈이라는 용어를 썼다..) [단독]혼혈 학생들 ‘교육차별’ 없앤다…교과 보충교육 등 정부차원 지원 / 쿠키뉴스/2006.2.19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143&aid=0000014874 연합뉴스/ 2006.04.11 https://spo..

다문화사회의 도래와 그에 따른 교육적 과제

세계 시장의 형성으로 외국인 노동인구 유입, 국제 결혼 가정의 증가, 북한 이탈주민의 유입, 기타 국제교류 확대로 우리 사회는 다인종, 다문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다문화 가정은 다양한 민족적,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로 구성된 가정을 통칭하는 개념으로 외국인 노동자 가정, 국제결혼 이주자 가정, 국적 취득자, 유학생 등을 포함한다. 현재 다문화가정의 수는 늘어가고 있으며 다문화 가정의 자녀들은 새로운 교육소외계층으로 부상하고 있다. 우리에게는 두 가지 교육적 과제가 있다. 첫째는 교육소외계층으로 부상하고 있는 다문화 가정의 자녀들의 적응 문제다. 다문화 가정은 소득 수준이 낮고 학습환경이 열악하여 기초학습의 부족으로 이어지며 학교 부적응, 중도 탈락, 따돌림, 정체성 혼란, 정서 장애 등의 문제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