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황선영(2010). 쓰기 전략을 통한 법적 사고력 신장, 법과인권교육학회, 3(2), pp. 81~110
- 연구 목적 및 배경
1) 법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법적 쟁점 쓰기 교수학습 활동이 교육 현장에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가.
- 사전 쓰기 이후 공공문제접근법에 의한 모둠활동이 사후쓰기에 성과가 있는가
- 이러한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은 무엇인가.
- 연구의 필요성과 배경은 무엇인가?
능동적 참여를 위한 법교육을 위해 실제 문제해결이 요구되는 상황을 제시하고 해당 상황 속에서
학생의 언어적 표현 또는 문자적 표현을 통해 제대로 평가할 필요가 있음. 법교육의 쓰기 전략은 결과 평가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법적 사고력을 향상시키는데 의의가 있음. 쓰기 평가에서도 서신류, 법정문서류가 아닌 논술문, 즉 사회적 이슈나 문제에 대해 사회적으로 찬반 의견이 갈려 있고 선택이 가능한 사회의 공공쟁점 문제에 대해 해결방법을 제시하는 쓰기의 방식을 활용함. 법리적 사고의 기준을 Newmann의 연구 중 수준 5와 옥일남(2005) 분석적 평가기준을 참고해 평가기준을 마련함.
- 연구 방법 : 실행연구(1,2차 실행)
- 연구 진행 절차: 법적 쟁점 쓰기 전략을 적용한 후, 학생들의 사고력 변화를 분석하는 실험을 진행
- 연구 기간 및 연구 참여자: 특정 학생 그룹을 대상으로 일정 기간 동안 연구를 진행.
-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사전-사후 쓰기 학습자료 평가, 모둠활동자료, 교육활동평가설문
- 타당도 검증: 연구 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비평, 삼각 검증 과정을 거쳤다.
- 결론 및 시사점
- 법적 쟁점 쓰기의 교수·학습 전략과 실천
- 교수·학습 전략: 법적 사고력을 키우기 위한 단계별 쓰기 학습 방법을 설계.
- 2차 실행의 성찰 : 모둠활동 부작용 최소화하기 위해 질문점수 추가, 모둠발표과정에서 토론참여 활발히 하고자 수정함. 모둠활동이 직접적으로 쓰기에 연계되도록 함.
학생들에게 막연하게 쓰기 과제를 부과할 것이 아니라 교수학습 과정에서 쓰기 능력을 제고시키기 위한 교수활동이 직접적으로 제공되어야 함. 쓰기 활동을 결과적 차원이 아닌 과정적 차원에서 접근시켜야 한다는 주장. 법적 쟁점 쓰기에 대한 실행연구는 법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쓰기 활동에 학습자가 자기주도적으로 참여하는 교육환경을 조성했다는데 의의가 있음.
반응형
'법교육 논문, 서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회지 - 초등학교 법교육 교재 개발의 원리와 실제(박형근, 2010, pp, 57-84) (0) | 2025.03.18 |
---|---|
학회지 - 학생자치법정 확대를 위한 제도화방안(정순원, 2011, pp. 107-125) (0) | 2025.03.17 |
학회지 - 헌법교육의 내용 구성 방안(박상준, 2013, pp. 65-88). (0) | 2025.03.17 |
학회지 - 학급자치활동이 초등학생의 법의식에 미치는 영향(한희택, 2009, pp.43-72) (0) | 2025.03.17 |
미국 법교육 교수학습법 사례 - 전화번호부 찾기, 청문회 수업, 외계인 침략, 동화 속 법 이야기 (곽한영, 2020:341-353) (0) | 2025.03.13 |
법교육 교수학습방법론 - 온라인 매체 활용수업, 블렌디드 러닝과 플립드 러닝(곽한영, 2020:221-269) (0) | 2025.03.13 |
법교육 교수학습방법론 - 딜레마 토론수업(곽한영, 2020:187-218) (1) | 2025.03.12 |
법교육 교수학습방법론 - 갈등해결교육으로서 또래조정(곽한영, 2020:153-184) (0) | 2025.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