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학생 징계 과정
사안발생- 진상조사 - 담당교사 : 조사내용을 학생 담임교사에게 고지 - 학생부심의(소위원회) - 선도위원회(대위원회) : 담당교사, 담임교사, 해당 학부모 의견 진술 - 교장 재가 - 징계의 시행(학부모, 학생 통지)
* 징계의 종류(사안의 경중에 따라, 누적가능) : 학교내 봉사활동, 사회봉사(지역사회), 특별교육이수(교육감이 설치 운영하는 특별교육과정 이수, 심성교육이나 집단상담 프로그램, 치료학교, 치료교육), 퇴학처분
* 법교육의 효과가 청소년들의 비행예방과 학교 생활에 미치는 효과 : 학교와 교사에 대해 애착을 갖고 유대관계 가지고 학업 성적이 향상된 학생들은 비행의 가능성이 낮아지고 스트릿로 교육프로그램으로 교실참여, 학교와 학급에 대한 관심 증진, 법교육프로그램(VOICE) 참여한 학생들의 태도가 향상됨. 청소년, 범죄, 지역사회(TCC) 평가연구에서 법교육에 참여한 학생들이 친사회적 능력을 습득함.
박성혁, 박선운(2009). 법교육 관점에서 본 학생징계 시행 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법교육연구, 4(2), pp. 56-77.
조석훈(1996). 학생징계의 특성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귀슬(2003). 중학교 학생징계제도의 운영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교사의 인식,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반응형
'법교육 논문, 서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술지) -법교육 교사의 교수효능감 (0) | 2018.10.21 |
---|---|
(학술지) - 학생자치법정에서 학급집단응집성이 또래압력에 미치는 영향 (0) | 2018.10.21 |
(학술지) - 학생자치법정 참여 경험과 적법절차의 원리 권리 인식 (0) | 2018.10.21 |
(학술지) - 현장 학생 징계의 문제점 및 개선 (0) | 2018.10.21 |
(학술지) 사회과 법교육 중 국제법 교육의 실태, 대안 탐색 (0) | 2018.10.20 |
(학술지) 법과 사회 교육과정과 ABA 법교육 가이드 비교 분석 (0) | 2018.10.20 |
(학술지) 법교육 방법 - 사례연구법 적용 (0) | 2018.10.20 |
(학술지) 우리나라의 법교육 역사 (0) | 2018.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