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교육 이론

사회과교육개론 / 6. 사회과 수업모형 - 논쟁 문제 수업

밍티쳐 2018. 9. 17. 21:28
반응형
<사회과교육개론>
 
1. 사회과의 개념과 역사
2. 사회과의 목표
3. 사회과의 영역
4. 사회과교육의 이론적 모형
5. 사회과 교육과정
6. 사회과 수업모형
7. 사회과교육의 평가
8. 사회과 교육의 새로운 이슈

 


<논쟁문제수업>
  논쟁수업은 의사결정수업과 유사하게 사회적 문제 해결과정을 다루지만 논쟁수업은 주로 사회 이슈를 다루고 있다.
특히 논쟁은 개념 정의 문제, 가치문제, 사실문제의 이유로 이루어진다.
  특히 1960년의 미국사회는 많은 사회문제(인종문제, 환경오염, 베트남전) 등이 있기에 이 사회적 배경에서 논쟁 문제 수업 모형이 개발되었다. 법리모형(jurisprudential framework)이라고 불리우는 논쟁문제 근거를 헌법에 규정되는 가치와 미국의 가치에 둔 모형을 올리버와 세이버(Oliver & Shaver)가 개발하였다. 논쟁 문제 수업은 논쟁문제를 입장, 주장의 타당성을 객관적 자료로 검증하고 대립가치들의 우선순위를 비교, 분석하고 종합해 합리적 대안을 선택하는 능력을 양성한다.
  논쟁문제 수업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문제인식
2) 가치문제의 명료화 - 가치, 사실 문제 구분하기, 대립 가치 명료화하기
3) 용어의 정의
4) 사실 확인과 객관적 검증 - 관련된 사실, 자료로 주장 검증하고 확인하기
5) 대립 가치의 분석 - 가치들의 우선순위 정하기. 어느 가치가 기본적 가치, 사회적 가치인지 비교 분석하기
6) 대안 탐색 및 결과 예측 - 대안 제시하기, 결과 예측하고 비교, 분석하기
7) 대안 선택 및 정당화 - 합리적 대안 선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