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교육개론>
1. 사회과의 개념과 역사
2. 사회과의 목표
3. 사회과의 영역
4. 사회과교육의 이론적 모형
5. 사회과 교육과정
6. 사회과 수업모형
7. 사회과교육의 평가
8. 사회과 교육의 새로운 이슈
<개념 학습>
개념이란 여러 대상이나 현상의 공통성을 일반화하여 하나의 범주로 분류한 것이다. 개념의 속성에는 결정적 속성과 비결정적 속성이 있다. 다른 개념과 결정적으로 구분짓게 하는 속성은 결정적 속성이라고 하며, 결정적인 속성은 아닌 것을 비결정적 속성이라 칭한다. 그러나 결정적 속성을 갖지 않는 개념이 많아 결정적 속성대신에 정의적 속성(중요한 속성), 일반적 속성(비결정적 속성대신) 정도로 사용되고 있다.
추상적인 개념은 긍정적인 예, 부정적인 예로 학생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설명한다. 이렇게 개념을 가르치는 방법으로는 속성모형, 원형모형, 상황모형으로 분류된다.
1) 속성(attribute) 모형 : 고전모형
사회과 개념은 1개 이상의 결정적 속성은 가지고 있다고 가정한다. 그래서 이 결정적 속성을 이해하면 개념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개념과 관련된 현상, 사례를 제시하고 개념의 결정적 속성, 비결정적 속성을 확인하고 대표적인 예, 비예를 제시한다. 학생들의 이해도를 알기 위해 새로운 현상, 사례에 적용하도록 한다.
2) 원형(prototype) 모형 : 속성모형의 대안
결정적 속성이 명확하지 않은 개념들을 가르치기 위한 모형, 결정적 속성이 아닌 개념에 적합한 원형, 대표사례에 의해 이해될 수 있다. 이 원형에 가까운 근접한 것이 개념이라는 설정이다. 개념과 관련된 현상을 제시 후 개념의 원형, 대표사례를 제시하고 비예를 설명하낟. 원형을 통해 공통된 속성을 확인하고 개념을 정의한다. 개념 이해도를 알기 위해 새로운 현상, 사례에 적용해본다.
3) 상황(Social context) 모형 : 사회적 상황, 역사적 배경 이해
행위의 맥락과 다른 개념들과의 연관성, 학생의 경험 속에서 여러 사례를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개념을 학습시킨다. 사회적 상황, 역사적 배경, 문화적 전통들과 관련시켜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다. 먼저 개념과 관련된 현상 제시하고 관련된 사회적 상황, 학생의 경험 제시하고 그 개념의 예와 비예를 제시한다. 그 다음 개념의 속성을 확인하고 관련 상황, 속성에 따라 개념의 정의해본다. 개념 이해도를 알기 위해 새로운 현상, 사례에 적용해본다.
'사회과교육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과교육개론 / 7. 사회과 수행평가 (0) | 2018.09.17 |
---|---|
사회과교육개론 / 6. 사회과 수업모형 - 논쟁 문제 수업 (0) | 2018.09.17 |
사회과교육개론 / 6. 사회과 수업모형 - 의사결정 수업 (0) | 2018.09.17 |
사회과교육개론 / 6. 사회과 수업모형 - 문제해결학습 (0) | 2018.09.17 |
사회과교육개론 / 5.사회과교육과정 -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0) | 2018.09.16 |
사회과교육개론 / 5. 사회과교육과정- 조직원리 (0) | 2018.09.16 |
사회과교육개론 / 4. 사회과교육의 이론적 모형 (0) | 2018.09.16 |
사회과교육개론 / 3. 사회과의 영역 (0) | 2018.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