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교육 이론

사회과교육개론 / 5. 사회과교육과정- 조직원리

밍티쳐 2018. 9. 16. 20:51
반응형

<사회과교육개론>

 
1. 사회과의 개념과 역사
2. 사회과의 목표
3. 사회과의 영역
4. 사회과교육의 이론적 모형
5. 사회과 교육과정
6. 사회과 수업모형
7. 사회과교육의 평가
8. 사회과 교육의 새로운 이슈

 

* 사회과 교육과정의 조직원리

1) 환경 확대법(expanding environments approach: 한나(Haana)는 학생들이 작은 공동체부터 큰 공동체로 배워야 한다고 했다. 가족, 학교, 이웃, 주, 국가, 세계 순으로 동심원적으로 확대시키며 사회과의 계열을 구성하는 것이다. 하지만 기계적이라는 비판을 받아 요즘은 탄력적 환경 확대법(학년군으로 내용체계를 묶음)을 적용하고 있다.

2) 나선형 교육과정(spiral conceptual curriculum) : 공통적인 주제, 개념을 추출하여 재구성. 핵심개념을 중심으로 학년별 교육내용의 범위, 깊이를 점점 확장시켜 구성하는 방식.

Banks는 5가지 개념(물리적 환경, 희소성, 권력, 문화적 차이, 사회화)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하고자 하였다.

3) 통합교육과정 : 하나의 분과학문보다는 여러 학문을 통합할 필요가 있음. Wraga는 학문적 형태와 교육적 형태로 분류하였다.

  * 학문적 형태 - 분과학문 유지

   - 다학문적 접근 : 병렬적 조직

   - 학제적 접근 : 여러 학문에서 공통적인 주제, 개념 추출하여 교육내용 통합적으로 조직

   - 초학문적 접근 : 특정 분과학문 초월하여 주제나 개념 선정하여 새롭게 통합

  * 교육적 형태 - 학문보다는 교육에 중점

   - 주제(개념) 중심의 통합적 접근(thematic approach) : 한나(Hanna), NCCS(10가지 스트랜드), 2007년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 문제(쟁점) 중심의 통합적 접근 : 사회문제, 쟁점을 중점으로

   - 주제 스트랜드 중심의 통합적 접근 : 1994년 NCSS의 주제 스트랜드 사회과 교육과정의 표준을 제시함.

4) 교육과정의 지역화 : 지역교육청의 지역교과서 개발 운영

  * 내용의 지역화 : 지역에 대한 학습, 교육내용이 지역사회의 실정, 특성에 구성함.

  * 방법의 지역화 : 지역에 의한 학습, 수업자료로 이용하는 것.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