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교육 이론

사회과교육개론 / 1. 사회과의 개념과 역사-한국사회과교육과정

밍티쳐 2018. 9. 9. 16:15
반응형

<사회과교육개론> 
1. 사회과의 개념과 역사
2. 사회과의 목표
3. 사회과의 영역
4. 사회과교육의 이론적 모형
5. 사회과 교육과정
6. 사회과 수업모형
7. 사회과교육의 평가
8. 사회과 교육의 새로운 이슈

 

한국 사회과의 역사를 한번 정리하기로 한다.

* 광복 이전은 대부분 유교적 사회질서에 관련된 전통적인 교육과 외국선교사에 의해 사립교육에서의 정치, 세계, 법률과 같은 사회과학, 세계사, 세계지리 등 역사, 지리 과목 위주로 가르쳤으며 식민지 시기에는 대부분 일본의 역사, 지리의 중심이니 한국사회과에 의미있는 광복 이후로 더 자세히 정리하기로 한다.

1. 광복 이후

  1945년 광복이후 미군정의 신탁통치가 시작되며 1946년 중학교 교육과정에서 공민, 지리, 역사를 통합한 사회생활과 교과를 시작하였다. 1946~1954년(교수요목기) 사회생활과는 가정(초1), 고장(초2), 여러지역(초3), 우리나라(초4), 다른나라(초5), 우리나라의 발달(초6)으로 가르치는 환경확대법에 따라 실제적인 규범이나 지식으로 조직되었다.

 

2. 독재정권 시기

  한국 전쟁 이후 남북의 대립, 각 정권의 독재 등 정치적 사회적 갈등이 많이 일어나서 일제의 잔재를 청산하고 민주정치를 정착시켜야 하는 과제가 있었다.

  1차 사회과 교육과정(1954~1963) : 1954년은 이승만 정권의 사사오입 개헌으로 인해 정권을 연장했던 때이기도 하다. 초등은 사회생활과목을 통합교과로 만들고, 중학교는 일반사회(사회생활+공민), 도덕, 국사를 필수, 세계사, 지리를 선택과목으로 지정하였다.

  2차 사회과교육과정(1963-1973) : 1963년은 박정희 정권의 시작이다. 이때에는 사회생활과를 사회과로 개칭하고 반공과 통일 교육을 사회과의 목표에 포함시켰다. 역사, 지리, 일반사회의 3개 영역이 분리되었고, 도덕이 국민윤리로 변경되었지만 사회과에 속해 있었고 일반사회 중 정치, 경제 과목이 신설되었다.

  3차 사회과교육과정(1973-1981) : 1972년 박정희 장기집권을 위한 유신헌법을 제정하였다. 국사와 국민윤리(반공의식)를 분리시켜 독립과목으로 만들었다. 사회과에서 일반사회가 사라지고 정치, 경제와 사회, 문화 과목으로 분화되었다.

  4차 사회과교육과정(1981-1987) : 1979년 12월 12일 전두환의 쿠데타로 정권을 잡게 된다. 분화되었던 정치, 경제와 사회, 문화 과목이 통합되어 사회1,2로 바뀐다. 지리, 세계사는 선택이다.

 

3. 민주화 정권 시기

  1987년 전두환 정권의 4.13 호헌조치에 의해 6월 민주 항쟁으로 독재정권이 정리되었고, 대통령 직선제 정권의 시작되었다.

  5차 사회과교육과정(1987-1992) : 민주화 사회와 미래사회 대비하기 위한 교육과정

  6차 사회과교육과정(1992-1997) : 초등학교 사회과와 중고등 사회과의 연계썽 체계화 , 초1,2학년 슬기로운 생활 신설

  7차 사회과교육과정(1997-2007) : 국민공통 기본 교육과정, 교육과정의 지역화, 사회과의 통합성과 계열성

 

4. 년도 개정 시기

* ~차 사회과교육과정 개정보다는 년도를 붙여 부분적인 개정을 함.

  2007 개정 사회과교육과정 : 기존 사회과 성격, 목표, 방법은 유지, 내용체계 구성방식만 수정

  2009 개정 사회과교육과정(이명박 정부) : 도덕을 사회에 포함시킴, 학년군으로 수정, 환경확대법 탄력적 적용, 사회 선택과목 축소

  2015 개정 사회과교육과정(박근혜 정부) : 핵심 개념 중심의 학습내용의 구조화, 초등은 주제 중심의 통합단원으로 구성, 한국사 독립, 통합사회 신설.

 

우리나라 사회과교육과정뿐만 아니라 교육과정의 개정은 정권이 바뀔때마다 계속 바뀌었던 역사를 지니고 있다. 그래서 교육과정의 개정이 되면 교과서와 함께 바뀌게 되는데, 교과서나 교육과정 준비 시기가 그리 넉넉하지 않아 비판을 받기도 하고, 교육과정 개정의 필요성보다는 대통령 바뀌는 시기마다 필요성이 강조되었다고 할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