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시민교육 논문, 서적

학회지 - 학생이 지각한 민주적 학급풍토가 사회적 신뢰에 미치는 영향(유혜영, 2022, pp, 125-144)

밍티쳐 2025. 3. 19. 14:14
반응형

유혜영(2022). 학생이 지각한 민주적 학급풍토가 사회적 신뢰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교육, 61(1), pp, 125-144.

 

  • 연구 목적 및 배경
  1. 연구문제 : 사회적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학급 풍토의 역할은 무엇인가.

 

  • 연구 방법 : 한국 청소년 정책 연구원 ' 2015 청소년 역량 측정 조사' 자료 활용한 다중회귀분석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적 신뢰를 증진시킬 있는 시민교육적 방안 모색

 

  • 연구 설계: 실험, 조사, 이론 연구 등
  1. 데이터 및 자료 출처 : 2015 청소년 역량 측정 조사
  2. 분석 방법 : 종속변수(사회적 신뢰), 분류방식을 류태건과 차재권(2014) 기준을 사용. 가족, 친구, 이웃, 낯선 한국인, 낯선 외국인, 독립변인(민주적 학급풍토), 통제변수(관계지향, 학교급, 성적, 경제수준), 다중공선성 문제 발생안함 확인.

 

  •  주요 연구 결과
  1. 핵심적인 발견 사항 정리

학급 풍토 : 구성원들이 경험하고 구성원들의 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서 주로 구성원들의 집단적 인식에 근거하고 있는 비교적 지속적인 학급 환경의 특징.

신뢰 중에 사회적 신뢰에 초점을 맞추고 일반 신뢰에 대상을 단순히 낯선 타인이 아닌 낯선 한국인, 낯선 외국에 대한 신뢰로 구분하여 접근함.

2. 연구에서 강조하는 중요한 데이터 및 그래프

  1. 학급 풍토는 학생들의 특수신뢰(가족, 친구, 이웃) 영향을 미친다.
  2. 민주적인 학급 풍토는 일반 신뢰가 증가한다.

 

  • 결론 및 시사점, 제언

민주적 학급 풍토를 조성하기 위한 시민교육적 해법 필요

  1. 수업을 통한 민주적 학급 풍토 조성 중요함. 특히 사회과 교과의 토론, 토의학습 필요.
  2. 학생들이 학급을 중심으로 민주주의를 생활하면서 민주적 가치와 원리를 습득할 있도록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 학급 자치.

 

 

류태건, 차재권(2014). 어떤 자원결사체가 어떤 신뢰를 증진시키는가? 동서연구, 26(2), 169-19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