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학생참여 2

(학술지) 학생 참여 교칙 제, 개정 모형 제안

전진현, 박성혁(2013). 참여형 법교육이 교칙 태도에 미치는 효과 연구 - 학생 참여 교칙 제, 개정 모형을 중심으로, 법교육연구, 8(2), pp 121-152. 사전 학생회의/교사회의/학부모의견수렴 - 교칙 제, 개정 위원회 회의 - 학교운영위원회 심의 - 교장의 교칙 공포 - 참여 경험 정리 3학년 사전 모의(모둠) - 3학년 사전 모의(학급)- 1,2학년 학급회의 - 학생 위원 회의 * 3학년을 먼저 고려한 이유는 오랜 시간 생활하여 교칙의 이해도가 높고, 콜버그 도덕성 발달 단계 중 후관습적 단계의 특징을 보일 가능성이 높다. * 3학년 사전 모의 콜브(Kolb) 경험에 의한 학습 순환을 적용하여 교칙에 관한 구체적인 경험 - 성찰적 관찰 - 교칙 제, 개정 건의 - 건의한 교칙 적용 * 1..

(학술지) 학생 참여의 현황, 문제점

전진현, 박성혁(2013). 참여형 법교육이 교칙 태도에 미치는 효과 연구 - 학생 참여 교칙 제, 개정 모형을 중심으로, 법교육연구, 8(2), pp 121-152. * 서론 : 학생들에게 교칙 준수만을 강조하는 것은 수동적인 교칙 준수자, 위반자를 양성할 가능성이 높다. 학생들이 직접 교칙을 인지하고 자발적인 규칙 준수태도와 자율적, 능동적 교칙태도를 갖출 필요성이 높다. * 학생 참여 재정의 : 학생들이 자신들의 생활영역인 학교에서 공적인 의사결정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고자 하는 행동. * 학생 참여제도의 현재 - 선거 : 교칙에서 명시하고 있는 성적, 품행 등 자격조건에 미달되지 않아야 함. - 학생회 : 학생회 임원들이 자유롭게 의사표현할 수 있는 보호수단 없음. 학생회 규칙을 대부분 학교가 공통..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