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석우, 최태진(2014). 교육연구방법론, 서울:학지사. * 내적타당도: 실험처치 결과가 정말로 실험처치 효과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는가. * 외적타당도 : 실험결과의 대표성 혹은 일반화 가능성 이 두가지 타당도는 상충하는 면을 보인다. * Campbell & Stanley, 1963 내적 타당도와 외적타당도 저해요인 - 내적 타당도 저해요인 : 1. 역사(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사이에 발생한 사건), 2. 성숙(실험처치 이외의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나타나는 피험자의 성숙) 3. 검사(사전검사 받은 경험), 4. 도구사용(사전-사후간의 측정도구 변화나 관찰자나 채점자의 변화) 5. 통계적 회귀(피험자의 극단적인 점수토대로 선정), 6. 피험자의 선발(두 집단의 동질성 결여) 7. 피험자의 탈락(실험과정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