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 교실 수업을 할 때에는 먼저 그 연구 주제와 문제에 따라 연구방법을 설정할 수 있다. 인과관계가 뚜렷하고 상관관계가 있는 연구 자료에 관하여서는 양적연구가 가능하다. 왜냐하면 연구자와 연구대상과의 관계가 가치중립적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설문지를 활용한 조사연구, 점검표에 따른 관찰연구에는 양적연구가 타당하다. 하지만 인과관계가 뚜렷하지 않고 특정한 현상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하고, 연구대상이 적은 연구에 대해서는 질적연구가 적절하다. 연구자와 연구대상과의 관계가 가치개입적이기 때문에 일반화하기는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관찰법이나 면접법을 활용한 사례연구, 문화기술적 연구가 이에 해당한다. 특히 사회과 교실 수업 연구분야에서는 양적 연구의 방법으로 한 연구보다는 질적 연구 부분이 더 많이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