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겸미, 박성혁(2010). 법태도와 준법의식의 관계 분석 - 학교 법교육 방법의 재검토 - ,법교육연구, 제9권 제2호. * 서론 : 감시와 처벌이 없이도 자발적인 동기에 의하여 법을 준수하는 시민을 양성하는 것이 법교육이 시민교육의 일환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음. 준법 행위 자체보다는 준법 동기에 주목함. * 법태도 :인지적 영역(법지식, 법이해도), 정서적 영역(법친밀감, 법신뢰도), 행동적 영역(법효능감, 법사용의사) * 정당성 인정형 : 공동체 존립을 위해 준법이 중요하며, 사회구성원의 합의에 기초했다는 점에서 준수의무를 가짐. (처벌 회피형, 이익추구형, 맹목적 준수형과 비교) * 결론 : 법태도 중 법신뢰도는 정당성 인정형 준법의식과 유사성이 있으며, 법사용의사와 정당성 인정형 준법의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