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보기 298

상관분석, 교차분석(이훈영, 2015, pp. 328-355)

이훈영(2015). 이훈영교수의 연구조사방법론 제 2판, 청람출판사, pp, 328-355 상관분석 : 변수들 간의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하는 분석기법 중 하나로 변수간의 선형관계 정도를 분석하는 통계기법. Var(분산), cov(공분산), corr(상관계수)공분산을 이용한 상관분석. 두 변수간의 공분산 분석. 척도의 크기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변수의 표준편차로 나누어 표준화된 공분산, 상관계수가 됨. 상관계수가 0.3이상이 되어야지 변수들간에 상관관계가 존재한다고 평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서열척도로 측정된 변수들 상관분석, 스피어만 서열 상관계수 : 4. 켄달의 타우 상관계수 : 2개 순위 서열자료들 간 상관관계 나타냄.   5. 교차분석 : 명목척도나 서열척도로 측정된 범주형 변수들간의 연관성 ..

교육연구방법 2025.03.27

타당성과 신뢰성(이훈영, 2015, pp. 304-323)

이훈영(2015). 이훈영교수의 연구조사방법론 제 2판, 청람출판사, pp, 304-323 타당성이란 인과관계연구 분석을 통해 도출된 실험결과가 실험설계의 목적에 얼마나 정확하게 부합하느냐를 나타내는 척도. 내적 타당성 : 실험이 실험변수의 효과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외생변수의 통제가 얼마나 잘 이루어졌는가. 내용 타당성 : 측정을 위해 개발한 도구가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의 정확한 속성값을 얼마나 포괄적으로 포함하고 있는가. 기준에 의한 타당성 : 특정한 평가기준에 의한 측정의 효과성을 제시, 에측타당성.개념 타당성 : 내용, 기준 타당성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감정과 같은 추상적인 개념이나 속성을 측정도구가 얼마나 적절하게 측정하였는가.-이해타당성 : 특정한 개념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

교육연구방법 2025.03.27

가설검정, 유의수준, 임계치, 오류(이훈영, 2015, pp. 246-254)

이훈영(2015). 이훈영교수의 연구조사방법론 제 2판, 청람출판사, pp, 246-254 가설검정은 연구자의 문제 파악 후 새로이 입증하고자 하는 내용을 연구가설H1을 세우고, 연구가설의 여집합 내용으로 귀무(null, 歸無)가설Ho을 설정하게 됨.  양측검정은 귀무가설 을 기각하고 연구가설을 채택할 수 있는 영역이 양쪽에 위치, 단측검정은 연구가설을 채택할 수 있는 영역이 한쪽에만 있음. 가능하면 양측검정보다 단측검정을 할 수 있도록 가설설정이 좋다. 단측검정에서 연구가설이 채택될 가능성이 더 높기 때문이다.유의수준 α : 표본으로부터 구한 통계량값이 귀무가설이 옳다는 전제하에 어느정도로 얻기 힘든 극단적인 값을 나타내는 확률수준. 유의수준 0.05로 가설검정은 통계량을 얻게 될 확률이 5%미만인 극..

교육연구방법 2025.03.26

척도와 변수

척도 : 관찰대상의 속성을 측정하여 그 값을 숫자로 나타내는 일종의 규칙척도를 이용한 생성된 양적 자료 - 변수(서로 다른 2개 이상의 수치 값), 상수(변하지 않은 하나의 수치)변수는 질적 변수(산술적인 사칙연산이 의미없는 변수, 명목척도, 서열척도), 양적변수(사칙연산이 의미있는 변수, 등간척도, 비율척도)*양적변수와 양적자료는 다름. 양적 자료는 양적변수, 질적변수 모두 해당*질적자료 : 관찰대상의 관심속성을 수치로 표현하기 전 단계의 자료. 질적자료를 수치로 나타나면 양적자료*양적변수는 질적변수로 변환 가능하나, 반대는 거의 불가능. 명목척도 : 관찰대상이 갖는 속성에 따라 관찰대상을 상호배타적인 범주로 구분. 숫자로서로 의미없고 관찰대상 구분하기 위함. 남자 1, 여자 0서열척도 : 관찰대상이 ..

교육연구방법 2025.03.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