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교육개론>
1. 사회과의 개념과 역사
2. 사회과의 목표
3. 사회과의 영역
4. 사회과교육의 이론적 모형
5. 사회과 교육과정
6. 사회과 수업모형
7. 사회과교육의 평가
8. 사회과 교육의 새로운 이슈
사회과의 목표가 어떻게 변했는지 역사적으로 짚어볼 필요가 있다. 먼저 1892년부터 NEA(미국교육학회)는 공교육 목적은 훌륭한 시민(애국적 시민)을 의미했다. 우리가 지금 생각하는 민주질서를 잘 지키며 인권을 보호하고 정치에 참여하는 시민이라는 의미과 거리가 있다는 것이다. 그때 당시의 목표는 애국적 시민 육성이다. 이 신념은 1970년까지 사회과교육자들에게 팽배한 신념이였다.
1917년 1차 세계대전의 참전, 1937-1945년까지 2차 세계대전이라는 세계 역사의 소용돌이에서 미국사회과는 애국적인 시민 양성이 아마도 모든 사회에서 바라는 시민상이 아니였을까 한다. 또한 1956년부터 1975년까지 냉전시대의 연장선인 베트남 전쟁으로 인해 더욱 미국 분위기는 이쪽으로 기울어진 것 같다.
그 와중에 1937년 웨슬리(Wesley)는 사회과는 교육적 목적을 위해 단순화시킨 사회과학들이라고 규정하여 사회과학 지식으로 사회과를 정의하여 20세기 중반까지 널리 받아들여졌다. 이 정의는 1960년 신사회과 운동인 학생들을 꼬마 과학자, 꼬마 사회과학자로 보는 교육의 흐름에 힘을 받아 사회과는 사회과학적 탐구과정을 가르쳐야 한다는 정의로 미국 사회과는 그 정의가 조금씩 바뀌었다. 이와 같이 펜톤(E. Fenton)도 사회과는 사회과학의 탐구방식을 가르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정의하였다. 마시알라스와 콕스(Massialas & Cox)도 사회과를 훌륭한 시민을 육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고력의 신장을 위한 교과라고 정의했다.
하지만 이 개념은 사회과와 사회과학을 동일시하는 문제점이 있다. 지금 사회과의 목표과 유사한 민주적 시민을 육성하려는 교과라는 정의는 1978년이 되어서야 제기되었다. 바, 바스, 셔미스(R. Barr, J. L. Barth, S.S. Shermis)는 사회과는 시민성 교육의 목표를 위해 사회과학과 인문학을 통합한 것이라고 정의내렸다.
그리고 1960년대에 일어난 다양한 사회문제(인종 갈등, 베트남전, 환경문제 등)이 대두되면서 민주적으로 갈등을 해결할 개인의 선택에 기반한 '의사결정력'이 강조되기 시작했다. 이에 따른 엥글(S.H. Engle)과 뱅크스(J.A.Bnaks)는 의사결정력을 강조하였다. 또한 1988년 올레버와 스콧(R.M. Woolever & K. P. Scott)도 합리적 의사결정과 사회적 행위를 사회과 목표로 정의하였다.
그러나 개인의 선택에 기반한 의사결정은 상호 합의에 이르지 못하기 때문에 사회갈등이 해결되는 것은 쉽지 않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1994년 미국사회과협회(NCSS)는 "사회과는 사회문제와 관련된 자료들을 통합해 구성된 사회과 교육과정 아래에서 민주적인 사회의 시민으로서 '공공선'을 위해 지적이고 '합리적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하도록 도와주는 것'이라고 정의 내렸다. 이어서 NCSS는 2001년에는 공교육의 기본적인 목표를 유능한 시민으로 규정하여 지식, 기능, 가치를 개발하는 것이라 하였고, 2002년 마토렐라외 빌(P.H.Martorella& C. Beal)도 유능한 시민을 양성하는 것이라 주장하였다. 2008년 NCSS는 유능하고 책임감 있는 시민이라는 정의를 통해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였다.
한편으로는 1990년 이후 학력저하의 문제를 삼으면서 교육과정 표준화 운동, 보수적인 교육 집단의 등장으로 사회과의 정의, 목표, 내용, 방법 등이 논쟁거리가 되어 '사회과 전쟁'이 일어났다. 또한 20세기 실제적인 학교 현장에서는 사회적응과 사회통제를 위한 사회과 교육이 강의, 암기 같은 전통적인 방법으로 지속되고 있었다. 지금 현재 우리나라에서 2015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정의한 사회과는 '사회과는 학생들이 사회 생활에 피룡한 지식과 기능을 익혀 이를 토대로 사회현상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민주 사회 구성원에게 요구되는 가치와 태도를 지님으로써 민주 시민으로서의 자질을 갖추도록 하는 교과'라고 하였다.
'사회과교육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과교육개론 / 2. 사회과목표 (0) | 2018.09.10 |
---|---|
사회과교육개론 / 1. 사회과의 개념과 역사-시민성 관점 (0) | 2018.09.09 |
사회과교육개론 / 1. 사회과의 개념과 역사-한국사회과교육과정 (0) | 2018.09.09 |
사회과교육 관련 사이트 (0) | 2018.09.05 |
사회과교육 관련 논문 및 책 리스트 (0) | 2018.09.05 |
사회과교육개론/ 1. 사회과의 개념과 역사 -1 (0) | 2018.09.02 |
사회과교육개론 정리하기 (0) | 2018.09.02 |
사회과교육학 교재 - 사회과교육의 이론과 실제 / 박상준 (0) | 2018.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