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다문화교육 2

우리나라의 다문화 교육의 시작, 하인즈 워드

1990년대 외국인 노동자의 유입, 2000년대부터 국제 결혼 가정의 급증으로 인해 우리나라에는 다문화 가정에 대해 관심을 보이게 된다. 특히 2006년 한국계 미국인 하인즈 워드(Hines Ward, 미식축구 슈퍼볼 MVP)가 우리나라를 방문하게 되면서 우리나라의 다문화가정에 대한 차별, 배타성에 대해 생각하는 계기가 된다. (2006년에는 다문화가정이라는 개념도 없었으며 혼혈이라는 용어를 썼다..) [단독]혼혈 학생들 ‘교육차별’ 없앤다…교과 보충교육 등 정부차원 지원 / 쿠키뉴스/2006.2.19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143&aid=0000014874 연합뉴스/ 2006.04.11 https://spo..

미국의 다문화 교육 역사

미국의 다문화 교육은 1960~1970년대 인권운동에서 비롯되었다. 장인실(2006)에 따르면 5단계로 미국 다문화 교육을 구별할 수 있다. 1단계 : 네티비즘(nativism) 미국은 미국만을 위해 존재하는 미국주의(네티비즘)을 통해 이민자 유입을 막고자 함. 2단계 : 동화주의(cubberly에 의해 주장) 각 민족 집단을 미국인으로 동화, 융합하려고 함. 주류문화인 미국의 민주적 제도와 인간존중 이념을 이해하고 실천하도록 하는 것. 3단계 : 용광로 모형(melting pot) 여러 나라의 문화를 용광로에 녹여 새로운 문화를 형성하려고 함. 하지만 모든 문화가 동등한 위치에 자리잡지 못하여 이상적 모형일뿐 동화주의와 차이가 없다는 비판을 받음. 후에 이주민 집단의 민족적, 문화적 특징을 인정해야 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