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종일(2003). 반성적 실행을 통한 사회과 교사자질 개선, 사회과교육, 42(2), pp. 5-27.
* 반성적 실행가로서의 교사자질 연구(Schon, 1983, 1987).
교사 스스로 자신의 교사자질을 개선해야 한다는 내재적 개선에 토대를 둔다. 자신의 수업 행위에 대해 지속적으로 반성적 실행을 함으로써 자기 스스로 자질을 개선해 간다는 점.
* 정보사회에 따라 서로 다른 미디어 대한 경험을 공유한 학생과 교사는 단절된 집단.
* 행위담사자 연구 : 단순 기술보다는 실천에 목적을 두고 수업환경에 대한 기술보다는 교사 자신의 행위에 대한 반성을 주된 연구대상으로 삼고 연구 과정에 있어서 교육현장에 미치는 외부 변수를 통제하지 않고 실제 주어진 상황에 연구의 초점을 둔다는 점에서 교육 현장 연구와 비교된다.
* 수업을 대상으로 계획-실행-관찰-반성-수정된 계획.
* 적합한 자료를 선정하여 과학적 방법론, 기술을 사용하여 새로운 교육 이론을 개발하고 이렇게 개발된 연구들은 거시적인 이론 속으로 종합되었고 이론을 하나의 지식으로 조직화하여 현장의 실천 원리로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론의 현실 적용에 대한 한계점을 실행가들은 인식하기 시작했고, 이론자체가 수업 속에서 그대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이론을 그대로 실천해보다는 수동적 행위자로서의 교사가 아니라 자신의 수업 상황에서 의욕적인 방법으로 문제들을 탐구하고 새로운 수업이론을 창출하는 능동적인 연구자가 될 것으로 요구받는다. 행위 중 반성과정에서 얻어지는 실행적 지식없이 불가능하다.
* 행위 과정 속에서 실행가들은 그들의 자신 이론을 만든다는 것이다. 일상생활의 자발적이고 직관적인 수행이 일어날때 계속해서 동일한 경험을 하게되고 복잡한 상황에서 그 문제에 대해 반성을 하게 된다. 실행가들은 행위를 한 후에 자신의 이전 시기 행위와 그 행위를 하게 한 이론을 반성하며 그 과정을 통해 선행이론을 수정한다. 자신의 판단을 분석하고 문제를 다시 구성하며 자신의 행위가 수정되어야 하는 합당한 이유를 찾고 행위 수정에 대한 이유를 근거개발하고 이해하게 된다. 그 반성이 새로운 이론을 형성하기 때문에 행위과정이라는 실천적 맥락으로부터 분리된 수단과 목적은 실행가들에게 의미가 없다.
* 반성적 실행가로서의 교사자질 연구(Schon, 1983, 1987).
교사 스스로 자신의 교사자질을 개선해야 한다는 내재적 개선에 토대를 둔다. 자신의 수업 행위에 대해 지속적으로 반성적 실행을 함으로써 자기 스스로 자질을 개선해 간다는 점.
* 정보사회에 따라 서로 다른 미디어 대한 경험을 공유한 학생과 교사는 단절된 집단.
* 행위담사자 연구 : 단순 기술보다는 실천에 목적을 두고 수업환경에 대한 기술보다는 교사 자신의 행위에 대한 반성을 주된 연구대상으로 삼고 연구 과정에 있어서 교육현장에 미치는 외부 변수를 통제하지 않고 실제 주어진 상황에 연구의 초점을 둔다는 점에서 교육 현장 연구와 비교된다.
* 수업을 대상으로 계획-실행-관찰-반성-수정된 계획.
* 적합한 자료를 선정하여 과학적 방법론, 기술을 사용하여 새로운 교육 이론을 개발하고 이렇게 개발된 연구들은 거시적인 이론 속으로 종합되었고 이론을 하나의 지식으로 조직화하여 현장의 실천 원리로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론의 현실 적용에 대한 한계점을 실행가들은 인식하기 시작했고, 이론자체가 수업 속에서 그대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이론을 그대로 실천해보다는 수동적 행위자로서의 교사가 아니라 자신의 수업 상황에서 의욕적인 방법으로 문제들을 탐구하고 새로운 수업이론을 창출하는 능동적인 연구자가 될 것으로 요구받는다. 행위 중 반성과정에서 얻어지는 실행적 지식없이 불가능하다.
* 행위 과정 속에서 실행가들은 그들의 자신 이론을 만든다는 것이다. 일상생활의 자발적이고 직관적인 수행이 일어날때 계속해서 동일한 경험을 하게되고 복잡한 상황에서 그 문제에 대해 반성을 하게 된다. 실행가들은 행위를 한 후에 자신의 이전 시기 행위와 그 행위를 하게 한 이론을 반성하며 그 과정을 통해 선행이론을 수정한다. 자신의 판단을 분석하고 문제를 다시 구성하며 자신의 행위가 수정되어야 하는 합당한 이유를 찾고 행위 수정에 대한 이유를 근거개발하고 이해하게 된다. 그 반성이 새로운 이론을 형성하기 때문에 행위과정이라는 실천적 맥락으로부터 분리된 수단과 목적은 실행가들에게 의미가 없다.
반응형
'사회과교육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과교육의 개념(사회과교육(차경수, 모경환, 2018:12-14)) (0) | 2025.02.14 |
---|---|
사회과 교육의 개정교육과정(feat. 국가교육과정 정보센터) (0) | 2021.03.04 |
사회과의 가치교육방법 (0) | 2018.10.26 |
사회과의 가치교육 (0) | 2018.10.26 |
세계시민성, 다중시민성, 세계시민교육 (0) | 2018.10.26 |
고차사고력의 유형 및 교수학습방법 (0) | 2018.10.15 |
사회과 고차사고력의 필요성 (0) | 2018.10.14 |
책리뷰 - 사회과교육(2017년 개정)/차경수, 모경환/동문사 (0) | 2018.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