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rryfield(1998)는세계시민교육에 대한 개념적 입장을 7가지로 범주화 하였다.
1. 인류와 세계를 역동적, 유기적, 상호의존적 세계로 이해하기 : 운명공동체, 지구촌이라는 인식
2. 전 지구적 쟁점 이해하기 : 국제인권, 평화와 안보, 개발, 환경 관련 쟁점 이해하기
3. 다양한 문화와 관점 이해하기 : 문화적 다원주의
4. 지역적, 전 지구적 차원에서 의사결정 내리고 행동하는데 필요한 지식, 기능, 책임감 갖기 : 지역사회 참여 및 의사결정, 세대간 책임, 긍정적인 상호의존과 협력.
5. 역사적인 차원에서 인류의 상호의존성 이해하기
6. 간문화적 이해, 상호작용, 의사소통 : 간문화적 인식 체험학습, 능력
7. 비판적인 맥락에서 편견 해소와 도덕 교육의 중요성 인식하기 : 자민족중심주의 해소, 개방적 태도, 고정관념 및 외국인 혐오 저항하기, 공감성향
위의 내용요소들이 세계적 수준의 사고와 지역적 수준의 실천과 행동을 통합하는 방향으로 조직되어야 한다.
세계시민교육은 세계와 개인의 관계, 국가와 국가의 관계, 국가와 개인의 관계 등 시간적, 공간적 맥락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며 타문화에 대한 상대주의적 이해를 길러줘 세계시민사회 구성원으로 요구되는 보편적, 합리적 소양을 길러주는 것으로 지향한다.
출처 : 차경수, 모경환(2017). 사회과교육 제2판. 동문사. pp 408-409.
Merryfield, M. M.(1998). Pedagogoy for global perspectives in edcation: Studies of teachers' thinking and practice. Theory and Reseach in Social Eudcaiton, Vol. 26, No. 3, pp.349-379.
'민주시민교육 학습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문화교육과 세계시민교육의 비교 (0) | 2021.03.06 |
---|---|
세계시민교육의 다양한 접근법 (0) | 2021.03.06 |
세계시민교육의 교육목표 (0) | 2021.03.06 |
다문화교육-동화주의, 다문화주의 (0) | 2021.03.06 |
다문화교육의 개념와 오개념 (0) | 2021.03.06 |
교육과정 실행에 있어서 사회과교사의 역할 (0) | 2018.10.15 |
다문화 교육과정 구성원리(뱅크스, banks) (0) | 2018.10.14 |
우리나라의 다문화 교육의 시작, 하인즈 워드 (0) | 2018.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