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교육 논문, 서적

학회지 - 사회과 논쟁문제 수업이 법적 의사결정능력 함양에 미치는 효과(정진철, 2009, pp. 48-78)

밍티쳐 2025. 3. 20. 12:10
반응형

정진철(2009). 사회과 논쟁문제 수업이 법적 의사결정능력 함양에 미치는 효과, 법과인권교육연구, 2(2), pp. 48-78.

 

  • 연구 목적 및 배경
  1. 연구문제 : 논쟁수업이 법적 의사결정능력 함양에 미치는 효과, 학업성취도, 법적 분쟁상황에서 문제해결력 향상, 인권을 존중하는 가치 태도 함양

 

  • 연구 방법 : 소집단 토론하는 진행을 통해 고등학생 138 실험집단, 통제집단(강의식 수업)으로 나누어 사전검사, 사후 검사 실시.  
  1. 연구 설계: 학업성취도 문항, 서술식 논술평가(합리적 해결 능력) Newmann(1991:414-415) 고차적 사고력 평가기준, Getz(1985) 인권태도검사지 사용
  2. 분석 : T검증,

 

 

  •  주요 연구 결과
  1. 핵심적인 발견 사항 정리

논쟁문제 : 사회적으로 찬성과 반대가 나뉘어져 사회구성원 전체에게 영향 미치며 각각의 주장이 팽팽하게 대립되어 있어 합리적인 대안을 도출해야 하는 문제.

논쟁문제 수업  : 사회적으로 찬성, 반대가 나누어져 있고 여러 개의 대안 하나를 옹호할 있는 능력을 기르는 교수방법.

법적 의사결정 : 어떤 법적 상황에 직면했을 , 지식을 활용하여 법적문제상황 파악하고 문제 해결하는데 있어서 의사결정자의 가치 판단에 따라 여러 가지 대안 합리적이고 비교 위위적인 선택을 내리는 고등정신 능력. 현상의 이해 증진을 위한 지식, 법적 사고력 문제 해결 능력, 인권을 옹호하고 모든 인간의 존엄을 추구하는 가치 태도.

  1. 연구에서 강조하는 중요한 데이터 및 그래프

논쟁문제 수업이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가 있고, 문제해결력이 향상되었으며 기본적 인권 존중 태도의 향상에는 무의미한 영향을 .

이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종속변인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었는지 파악. 학업 성취도 중에 수업방법, 사회 성적, 사전 지식검사는 유의미함. 법적 문제 해결력 점수는 사전 지식 검사, 사전 가치검사만 유의미함.

 

Getz, I.(1985). Moral reasoning, religion and attitude toward human righ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nnesota.

Newmann, F.M.(1991). Classroom thoughtfulness and students' higher order thinking: Common indicators and diverse social studies courses, Theory and Research in Social Education, Winter. Vol. XIX, No. 4., pp. 414-415.

반응형